'韓경제 시한폭탄' 상장 한계기업 빚 53조…임직원만 10만명
매출 1조원 이상만 13개사…매출기준 대우조선해양 4개 더 있는 셈
3년 사이 빚 1.4배 증가…무너지면 제2, 3 대우조선 사태 우려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국 경제 화약고…채무관리방안 필요"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이대희 기자 = 부채가 많은 한계기업이 한국 경제에 차지하는 비율이 낮지 않아 제2의 '대우조선해양[042660] 사태'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매출이 많고 고용 직원이 많은 상장 한계기업이 무너지면 한국 경제에 치명타로 작용할 위험이 커 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계기업 3천278개 중 비교적 기업 규모가 크다고 할 수 있는 상장기업은 232개였다.
한계기업은 금융당국이 기업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상장 한계기업의 매출액 합계는 71조3천545억원이었다. 당시 한국 국내총생산(GDP) 1천565조원의 4.6%에 달하는 규모다.
이 상장 한계기업이 고용한 직원 수는 정규직 9만200명, 기간제 5천285명 등 9만6천18명에 달했다.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대우조선해양이었다. 2015년 기준 매출액은 13조 3천663억원, 임직원은 1만3천199명이었다.
매출액 1조원이 넘는 상장 한계기업은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해 13개사였다. 1천억∼1조원 사이는 53개사였다.
임직원이 1천명이 넘는 곳은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한 15개, 100∼1천명은 124개사였다.
상장 한계기업의 규모는 매출액 기준으로는 대우조선해양이 5.3개사가 있는 셈이었다. 임직원 수로는 7.3개사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하지만 빚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2012년 38억4조원이었던 상장 한계기업의 신용공여액(대출·지급보증 등 빚)은 2015년 53조5천억원으로 약 1.4배 불어났다.
상장 한계기업은 기업 개수로는 전체의 7%에 불과했지만, 신용공여액 기준으로는 45%나 차지했다.
이에 따라 상장 한계기업이 무너지게 되면 제2, 제3의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벌어질 위험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종민 의원은 "가계부채와 마찬가지로 기업부채도 양적 관리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한계기업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은 만큼 한계기업이 우리 경제의 화약고가 되지 않도록 별도의 채무관리방안을 수립해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6월 초에 열릴 것으로 보이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통해 정부의 한계기업 관리 방안과 대책을 물을 계획이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