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中 28년만 등급강등 왜?…"빚더미에 재정악화 우려"

입력 2017-05-24 17:14
무디스, 中 28년만 등급강등 왜?…"빚더미에 재정악화 우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DP 대비 총부채비율 142→256% 급등

후폭풍 우려…S&P 등 다른 신평사 '강등 동참' 가능성 주목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4일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톈안먼(天安門) 사태가 있었던 1989년 이후 처음 강등한 것은 지속해서 쌓이는 부채로 인한 리스크 때문이다.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들이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대대적인 돈 풀기에 나서자 기업들을 중심으로 빚을 급격히 늘리면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해왔다.



무디스는 이날 성명에서 중국 정부가 생산성 성장 둔화, 생산가능인구 감소에도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려 하고 있다며, 앞으로 이를 달성하는 길은 빚을 계속 내는 방법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중국 정부의 재정건전성이 향후 몇 년 내에 무너질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해 등급을 하향조정했다"면서 "부채가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잠재성장률이 둔화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중국의 작년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기업·정부(금융부문 제외) 부채비율은 256%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373%)보다는 낮지만, 브라질(141%), 러시아(86%) 등 대다수의 신흥국은 물론, 미국(255.7%)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중국의 부채에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유례없이 빠른 증가 속도다.

중국의 총부채는 2008년 이후 매년 GDP의 15%씩 증가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중국 경제성장률을 6.5∼7%에서 유지하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008년 이전에는 140~150% 선을 꾸준히 유지해오다 2008년 3분기 142%에서 무려 114%포인트 폭증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이와 관련, 경제규모 대비 부채 자체보다는 부채가 급증하는 속도가 가장 우려된다면서 부채 폭증이 금융위기로 향해 가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중국의 비금융기업부채는 GDP 대비 170% 수준으로 총부채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대부분 국유은행이 국유기업에 대출한 빚이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46%로 아직까지는 양호한 편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번스프리처드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악성부채 문제가 너무 커져서 정부가 언젠가는 개입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정부부채는 급격히 불어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후폭풍도 우려되고 있다. 등급 강등은 다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까지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앞서 2013년에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현재 무디스와 같은 다섯 번째 등급인 A+로 강등했으며, S&P는 네 번째 등급인 AA-로 유지하고 있지만,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이다.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에 따라 중국 위안화의 가치가 떨어지고, 중국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이나 되갚기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UOB 케이하이안홀딩스의 주샤오핑 중국이코노미스트는 WSJ에 "중국 기업들이 해외부채를 되갚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위안화 약세는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용등급 하향조정으로 외국인투자자들이 중국 본토 채권시장에 투자하는데 더 조심스러워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켄 정 미즈호은행 투자전략가는 "중국이 홍콩과 채권교차거래를 의미하는 채권퉁을 열어 외국인투자자의 중국 채권시장 투자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하는 와중에 신용등급이 강등된 것"이라고 말했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