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콜 쇄도' 국내 조종사 연간 100명 해외로 이직

입력 2017-04-23 09:00
'러브콜 쇄도' 국내 조종사 연간 100명 해외로 이직

조종인력 수요 계속 늘어난 탓…국토부는 조종사 공급대책 마련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항공산업이 호황을 누리면서 조종사들의 이직이 활발해지고 '몸값'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지난해만 조종사 100명이 해외로 이직했다.

중국 항공사들이 2억∼3억원대 연봉과 파격적인 복지 혜택으로 한국인 조종사 모시기 경쟁을 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빈번하게 조종사 스카우트가 이뤄지고 있다.



23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내 국적 항공사의 조종사 수는 2010년 총 3천800명에서 2014년 5천명을 넘기더니 작년 말 기준 5천600명까지 급속도로 늘었다.

과거에는 대한항공[003490]과 아시아나항공[020560] 양자 구도였지만,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제주항공·에어부산·이스타항공·티웨이항공이 경쟁적으로 여객기를 도입하고 노선을 늘렸고 작년에는 6번째 LCC로 에어서울이 취항했다.

현재 플라이양양(양양), 한화그룹이 투자한 케이에어(청주), 에어대구(대구), 남부에어(밀양), 프라임항공(울산), 에어포항(포항)이 항공운송사업 면허신청을 준비 중이다.

특히 출범이 확정적인 LCC가 같은 기종을 운항 중인 항공사 조종사들에게 "연봉 2억원을 주겠다"며 스카우트 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렇게 조종사 수요가 급증하다 보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장들은 주로 중국으로 취업하고, 부기장들은 국내 LCC로 취업해 기장으로 승격한 뒤 다시 해외 항공사로 이직하는 연쇄 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인 조종사 기준으로 대한항공 109명, 아시아나항공 78명, 제주항공[089590] 18명, 진에어 31명, 에어부산 19명, 이스타항공 21명, 티웨이항공 10명이 퇴사했다.

아시아나항공 퇴사자의 세부 통계를 보면 기장 20명은 해외로, 5명은 국내 항공사로 이직했고, 부기장 35명은 모두 국내 항공사로 이직했다. 18명은 기타 사유로 퇴사했다.

국내 조종사 가운데 해외로 이직한 총인원은 2015년 92명, 2016년 100명이었다.

일각에서는 조종사 인력의 해외 유출을 우려한다. 기장 1명을 양성하는 데 상당히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간 여객기 조종사의 해외 이직을 막을 아무런 근거가 없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국적 항공사들에 조종사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여객기 조종사가 되는 방법으로는 ▲ 군에서 비행을 배우고 15년 의무복무 후 제대 ▲ 항공대·교통대 등 항공운항과에서 120시간 이상 비행 후 ROTC로 임관해 13년 의무복무하거나 교관 등으로 비행시간 채우기 ▲ 미국 등에서 조종사 유학 ▲ 비행교육원 훈련 등이 있다.

이 중 어떠한 코스를 밟든 200시간의 비행시간을 채우면 사업용조종사 자격을 취득한다. 연간 약 800명이 사업용조종사 자격을 얻는다.

하지만 항공사는 부기장 채용 시 자격증뿐만 아니라 비행경험 250∼1천 시간과 제트기 경험을 요구한다.

비행경험은 주로 비행교관 활동을 통해 채우고, 제트기 교육에는 돈이 많이 든다. 정석 비행훈련원은 약 5천만원 수준이고 미국·영국·호주 등 해외에서 교육받으면 체류비 등을 제외하고 순수 교육비만 2천만원∼4천500만원이 든다.

이에 국토부가 나서서 한국공항공사로 하여금 김포국제공항 화물청사 안에 4천㎡ 규모의 항공훈련센터를 구축하고, 훈련용 제트항공기와 시뮬레이터를 갖추도록 했다.

6주간 제트기 훈련비용을 1인당 2천만원으로 책정하고, 연간 180명을 모집한다. 올해는 180명 가운데 80명에게 500만원씩 정부 예산을 지원한다.

현재 이 프로그램의 첫 훈련생 20명을 선발 중이며 6월 19일부터 훈련을 개시한다.

국적 항공사 9곳이 모두 이 프로그램과 관련해 국토부, 공항공사와 '우수 항공조종인력 양성 및 취업협력 협약'을 맺었다.

장만희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과장은 "제트기 훈련을 받은 조종사 180명이 매년 배출되면 안정적인 조종사 수급에 도움이 되고, 조종사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훈련용 경항공기 전용 비행장 구축방안과 민간항공기 훈련용 공역 확대 방안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