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54세 '고령 아빠' 2배로…2000년 20%→2010년 39%
첫 아이 출산 연령도 남 33.1세, 여 30.5세로 늦어져
1997∼2014년 출생아 905만명 분석결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35∼54세 사이의 고령에 아이를 출산하는 남성이 10년(2000∼2010년) 만에 거의 두 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추세 속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저출산을 해결하려면 여성뿐만 아니라 남편의 출산 연령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호주 커틴대 경제금융학부 손기태 교수는 1997∼2014년 한국의 출생아(905만6천389명) 자료와 2000∼2010년 인구조사 자료, 결혼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부모의 출산 연령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인간 생식'(Human Fertility) 온라인판 최근호에 발표됐다.
논문을 보면 2000년만 해도 35∼54세의 고령에 출산한 한국 남성의 비율은 전체 기혼 남성의 20.2%에 머물렀다. 하지만 이런 비율은 2010년에 38.7%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기혼 남성 10명 중 4명은 35∼54세의 고령에 아빠가 된 셈이다.
여성도 이런 사정은 비슷했다. 35∼54세에 아이를 낳은 여성은 같은 시기 6.7%에서 17.2%로 증가해 2.6배가 됐다.
결혼해서 첫 아이를 낳는 연령도 점점 높아졌다. 남성의 경우 첫 아이 출산 평균연령이 1997년 29.4세였지만 2014년에는 33.1세가 됐다. 또 여성의 첫 출산 평균연령은 같은 시기에 26.4세에서 30.5세로 4살이나 증가했다.
연구팀은 높아진 부모의 연령이 장단기적으로 아이의 건강, 교육,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건강 측면에서는 높은 유산 위험, 저체중아 출산,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과 관련이 큰 것으로 연구팀은 언급했다.
손기태 교수는 "임신이 어려워지는 게 부모의 고령화 탓만은 아니지만, 그 영향력을 무시할 수는 없다"면서 "미래의 부모는 적어도 노령 출산의 잠재적인 단점에 대해 인식하고 있어야 하고, 정책 입안자들도 저출산을 극복하는 차원에서 이런 부분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