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유해정보 범람…초중등 '미디어 교육' 강화
교육부, 교과서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모형 첫 개발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뉴스나 광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여러 매체로 전달되는 수많은 정보를 올바르게 해독하는 능력을 기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초·중학교 수업에 본격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경인교대 정현선 교수팀에게 정책연구를 맡겨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될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모형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란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와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미디어를 활용해 표현하거나 공유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미 선진국이나 미디어 관련 국제기구 등에서는 21세기의 핵심 역량 중 하나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꼽고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관련 기관과 학계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를 요구해왔다.
특히 기존 미디어뿐 아니라 스마트폰, SNS 등을 통해서도 온갖 정보가 쏟아지고 유해 콘텐츠, 최근에는 가짜뉴스의 문제점도 부각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지난해 초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공개한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청소년 방송·통신 콘텐츠 이용 실태 분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 이내 폭력적 콘텐츠를 본 적 있다는 응답자는 79%나 됐다.
보고서는 "청소년의 불법·유해 콘텐츠 접촉을 줄이기 위해 규제 중심의 정책보다는 미디어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따라서 교육부의 이번 정책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는 새 교과서에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을 체계적으로 담기 위해 진행됐다.
정책연구팀 분석 결과 현행 교과서에도 국어, 사회, 도덕 등 여러 교과에 미디어 관련 내용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미디어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과 사례, 규제 중심 내용이 추상적, 단편적으로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미디어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긍정적 이용에 초점을 맞춰 실제 수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과서 단원 모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뉴스' 단원에서는 '무엇이 뉴스가 되는가' '뉴스는 우리에게 현실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뉴스 생산자와 이용자가 지켜야 할 윤리는 무엇인가' 등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질문을 가지고 수업하도록 했다.
교육부는 이렇게 개발된 단원 모형을 교과서 집필자들이 참고하도록 편찬기관과 발행 출판사에 전달하고 지난달에는 함께 세미나도 열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올해 초 1∼2, 내년 초 3∼4 및 중 1, 2019년 초 5∼6 및 중 2 등으로 순차 적용되며, 교과서 개발·검정 작업도 이에 맞춰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광고의 경우도 아이들에게 '많이 가져야 행복하다' '더 예뻐져야 한다'는 신화를 심어줄 수 있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보게 하는 것이 미디어 리터러시"라며 "현행 교과서엔 그런 단원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외부 기관에서 만든 미디어 리터러시 교재는 있었지만 교과서에 이 내용을 넣기 위해 정부가 정책연구로 지원한 것은 처음"이라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제 수업으로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y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