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산불 빅데이터 활용 과학·효율적 방지 대책 추진
1991∼2015년 산불 발생 토대 '산불위험지도' 제작
(춘천=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강원도가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 발생 빅데이터(Big-Data)를 활용,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산불방지대책을 추진한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제작한 산불 다발지도를 토대로 시·군별, 리·동별 산불위험도를 심층 분석해 강원도 산불위험지도를 따로 제작했다.
1991년부터 2015년까지 25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총 1천324건을 분석했다.
산불자료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산림 주변 펜션, 관광지개발 등 각종 개발에 따른 신규 산불 발생 요인과 귀농·귀촌 등 인구증가, 산림 연접지 불법소각 행위 다발지역 등 사회적 여건변화도 분석에 포함했다.
산불 발생 장소, 원인, 산불 간 거리, 발생빈도 등 상관관계도 분석해 수치 지도화했다.
산불위험도는 1㎢(100ha) 내 산불 건수에 따라 관심(0.25건 미만), 주의(0.25∼0.5건), 경계(0.5∼0.75건), 심각(0.75건 이상) 4단계로 구분 지었다.
시·군 총 2천361개 리·동 중 관심 1천722개소, 주의 548개소, 경계 71개소, 심각 20개소로 구분했다.
산불위험지도를 보면 1990년대(1991∼2000년) 산불 발생은 597건 3만21ha이다.
2000년 4월 7∼15일 강릉, 동해, 고성, 삼척 4개 시·군에서 동시다발 대형산불로 2만3천138ha 산림피해로 면적이 급증했다.
2000년대(2001∼2010년)는 410건 2천488ha 피해가 발생했다.
2004년 속초 청대산(180ha), 강릉 옥계(430ha), 2005년 양양 양양읍·강현면(973ha), 2005년 양양 현남면(168ha) 산불 피해가 컸다.
2011년∼2015년에는 317건이 발생, 394ha가 불에 탔다.
시대별 건당 피해면적은 90년대 50.29ha, 2000년대 6.07ha, 2011∼2015년 1.24ha로 감소 추세이다.
최근 전문예방진화대, 감시원 등 종사인력 확충과 헬기진화 등 산불진화기술이 발전한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월별 발생은 최대 취약시기인 3∼4월 발생이 전체 694건으로 52.4%를 차지했다.
봄철 2∼5월 955건(72.1%), 가을철 11∼12월 160건(12.8%)으로 산불 조심 기간 중 발생이 85%를 차지했으나 이 기간 외 발생도 199건(1월 57건, 6월 67건, 10월 64건, 7∼9월 11건)으로 15%로 나타나 산불 발생이 연중 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원인별로는 입산자 실화가 568건으로 전체 산불 건수의 42.9%를 차지했다.
이어 논·밭두렁 소각 137건(10.3%), 쓰레기 소각 139건(10.5%), 담뱃불 실화 96건(6.5%) 순이다.
도는 강원도 산불위험지도가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산불방지대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불감시원 배치 지역과 입산자 실화가 많은 지역은 등산로 통제구간 선정하고 성묘객 실화가 많은 지역은 한식 전·후 또는 명절 전후에 감시활동을 강화한다.
논·밭두렁 태우기로 산불이 많은 지역은 2월 중순∼3월 중순 영농시기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연료물질저감사업(인화물 제거) 대상지 선정 때 우선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
쓰레기 소각 관련 산불이 많은 지역은 산림인접지에 상습적인 소각 장소가 있는지를 파악해 농정·환경부서와 공동으로 단속·관리 하는 데 참고하고 산불인력 재배치에 활용한다.
박재복 도 녹색국장은 4일 "산불 발생 신규요인과 사회적 여건변화 추이를 고려한 산불 발생 빅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산불방지 대응력을 한 단계 높였다"며 "앞으로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산불대응으로 도의 가장 큰 자산인 산림을 산불로부터 지키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imb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