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부채 상환불능 한계가구 200만 육박

입력 2017-03-14 06:01
수정 2017-03-14 15:12
금융권 부채 상환불능 한계가구 200만 육박

부채보유 가구의 19.9%, 통계청 추산보다 7.4%p 높아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 우리나라에서 은행 등 금융권 부채를 제 때 갚을 수 없는 한계가구가 부채를 보유한 5가구 중 1가구꼴로, 모두 200만 가구에 육박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계가구는 금융권에서 빚을 진 가구 중에서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매달 최저생계비를 뺀 소득에서 원리금을 갚고 나면 가계가 마이너스(―)에 놓이게 되는 가구를 말한다.

14일 금융권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부채 보유한 전체 1천86만3천55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달 소득에서 최저생계비를 빼면 원리금 상환조차 어려운 한계가구가 200만가구로 추산됐다.

이는 전체 부채 보유 가구 1천86만3554가구의 19.9%에 해당한다. 통계청이 추산한 한계가구 비중 12.5%보다 7.4%포인트나 높다.

이들 한계가구가 보유한 은행권(대구은행 제외)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작년 9월 말 기준 169조원으로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개인사업자 대출 포함) 648조원의 26.1%로 추산됐다.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시중은행이 144조원으로 전체 가계대출 557조원의 25.9%를 차지했다.

외국은행 가계대출 39조원에서 한계가구의 위험 대출 규모는 10조원(25.6%)이었다. 지방은행 가계대출에선 한계가구 몫이 15조원으로 전체(52조원)의 30.2%에 달했다.

특히 이들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위험한 상태로 지적됐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이 101조원으로 전체(348조원)의 32.1%에 달하고 3년도 안돼 두 배 수준으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 구간 대출 비중은 2013년 말만 해도 15.4%에 머물렀다.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74%인 63조원이 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에 해당한다.

여기에 230조원 규모의 개인사업자 대출도 전체 은행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5%로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여윤기 한신평 연구원은 "시간이 지나면서 한계가구로 편입되는 가구가 늘어나 금리 인상과 경기위기가 현실화하면 변동금리로 대출받은 가구들이 채무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반은행은 한계가구 부실을 반영해도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에 문제가 없겠지만 신용도가 떨어지는 한계 차주가 많은 제2금융권은 위험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가계신용(가계 빚)은 작년 말 1천344조3천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작년 한 해 증가 폭도 141조2천억원으로 역대 최대다.

가계부채 규모가 700조원에서 1천조원으로 늘어나는 데는 2008년 2분기부터 2013년 4분기까지 5.5년이 걸렸다. 작년 말 1천300조원으로 불어나는 데는 3년이 걸리지 않아 증가속도가 시간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indi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