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방한금지 D-1] 관광시장 휘청…"변화 필요" 묘수 찾기
15일 이후 예약 줄 취소, 신규 예약도 없어…싼커, 일본·대만·동남아 관광객 유치 총력
(전국종합=연합뉴스)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관광객 급감이 현실로 나타나면서 관련 업계와 지방자치단체가 '묘수 찾기'에 사활을걸고 있다.
한국을 찾는 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절반에 달하는 연간 800만 명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의 공백을 메우는 게 쉽지 않지만, 앉아서당하고만 있지 않겠다는 각오로 분주하다.
싼커(개별 관광객) 유치에 힘을 기울이고 일본, 대만, 동남아 쪽으로 눈을 돌려 관광 루트를 다변화하는 데 우선 힘을 쏟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온 제주도의 경우 중국의 한국 관광상품 판매 전면 금지일(15일)이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심각한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 위주로 영업하는 여행사와 숙박업소, 음식점의 휴업이 속출한다.
제주 시내에 있는 70실 규모의 한 호텔은 15일부터 당분간 문을 닫을 예정이다.
이달 초 한중 간 사드 갈등이 고조된 이후 중국인 관광객의 예약 취소가 줄을 잇더니 15일 이후에는 아예 예약조차 끊겼다.
호텔 관계자는 14일 "유커 위주로만 전문적으로 영업하다 보니 갑자기 한국인 손님을 맞을 준비도 돼 있지 않다"며 "오늘까지 예약손님이 모두 투숙하고 나면 당분간 문을 닫기로 했다"고 했다.
제주 시내의 다른 한 호텔도 지난해 10월부터 유커가 감소해 160실 규모의 호텔 영업을 유지할 수 없게 되자 폐업 절차를 밟고 있다.
제주도에는 사드 갈등에 타격받은 지난해에도 306만 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찾은 터라 중국의 사드 보복이 뼈 아플 수밖에 없다.
유커를 제주에 유치하는 한 전문 여행사도 15일부터 휴업에 들어간다.
여행사 관계자는 "이달 중순부터 중국인 관광객의 예약이 전면 취소돼 휴업이 불가피하다"고 털어놨다.
관광 안내사와 직원을 합쳐 1천 명에 육박하는 이 회사는 일부 직원에게 유급휴가 권장하는 등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다.
유커들이 많이 찾던 부산도 사드 보복 직격탄을 피하지는 못했다.
부산 중구 광복로에 있는 한 화장품 판매장 관계자는 "고객 3분의 1이 외국인이고 그중 절반이 중국인"이라며 "유커가 늘면서 인근에 화장품 가게가 많이 생겼는데 매출 타격이 장기화하면 휴·폐업하는 업소들이 나올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이동형 국제시장 상인번영회장은 "크루즈가 부산에 입항하면 중국인 단체 손님들이 많이 찾아왔는데 최근 방문객이 줄었다"며 "화장품 가게가 밀집한 광복로보다 피해는 심하지 않지만, 사드 사태와 관련해 상인들이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답답해했다.
상황이 애초 예상보다 심각하게 전개되자 각 지자체의 대응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제주도는 중국발 크루즈 기항 취소와 관련된 예인선·크루즈터미널 운영 손실 보전 등을 위해 국비 58억원과 저리 융자 100억원 지원을 정부에 요청했다.
또 국내외 수학여행단 유치를 활성화하고 일본, 동남아 관광객을 더 적극적으로 유치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올해 상반기에 계획한 13차례 관광 마케팅을 대만, 일본, 동남아에 집중한다.
부산과 직항 노선이 있는 일본 도시를 중심으로 업계 공동상품을 개발하고 온·오프라인 프로모션을 강화키로 했다.
동남아 시장을 겨냥해서는 한류, 뷰티, 드라마 촬영지를 중심으로 관광상품을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무슬림을 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에 나섰다.
중화권은 홍콩과 대만 등 중국 본토 이외의 지역을 중심으로 마케팅 영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치르는 강원도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21∼23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평창올림픽 홍보와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 모색에 나선다.
양국 관계가 어려울수록 일관성 있는 조치가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해 정면돌파한다는 계획이다.
관광시장 다변화를 꾀하기 위해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 신규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동계올림픽 선진국인 유럽의 관광객 비율을 높이는 데 힘쓰기로 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중국시장 일변도에서 벗어나 관광산업이 중·장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시장 다변화에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충북도는 청주국제공항의 중국 위주 국제노선을 대만, 베트남, 러시아, 일본 등지로 다변화하기로 했다.
올해부터 일본 관광객 유치 여행사에 지원하기로 한 인센티브를 다른 국가로도 확대키로 했다.
업계와 지자체의 이런 다양한 노력도 유커 공백을 완전히 메울 수 없는 만큼 한중 간 사드 갈등이 언제까지 지속할지는 초미의 관심사다.
한국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는 지난 10일 한국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파면 결정을 계기로 수위조절에 들어간 기색이 역력하다.
중국 당국의 사드 관련 비판 발언 수위가 확연히 낮아졌고, 관영 매체의 비판 논조도 순화되는 등 기존과 다른 태도다.
일각에서는 18∼19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이 중국의 사드 보복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를 둘러싼 중일 분쟁 사례에서 보듯 중국의 전방위 보복이 1년 이상 지속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그동안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편중됐던 관광시장을 정상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고승익 제주도관광협회 마케팅국장은 "사드 갈등 속에 중국 내에서 한국관광 자제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지만 싼커(散客·개별관광객)까지 중국 정부가 완전히 통제할 수 없는 만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관광공사 관계자는 "싼커들이 편리하게 부산을 여행할 수 있도록 여행 앱 플랫폼을 구축하고 동남아를 비롯해 중동, 인도, 몽골, 러시아 등에서 의료관광객과 크루즈 개별여행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김형우 고성식 조정호 박영서 신민재 기자)
s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