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영역부터 한일 과거사 문제까지…한국사 쟁점 24개는

입력 2017-03-02 15:45
고조선 영역부터 한일 과거사 문제까지…한국사 쟁점 24개는

창비 '쟁점 한국사' 출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고조선이 기원전 2333년 건국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일까,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을 과연 건국일로 봐야 할까, 해결되지 않는 한일 과거사 문제의 원인은 무엇일까….

역사는 논쟁적 학문이다. 동일한 자료와 유물을 바탕으로 연구해도 학자의 시각에 따라 주장이 달라진다. 특히 현대사는 정치적 이념에 의한 견해차가 극명해 통일된 결론을 도출하기 쉽지 않다.

출판사 창비가 펴낸 '쟁점 한국사'는 역사학자 23명이 우리 역사학계에서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쟁점 24개를 정리한 책이다. 지난해 2월부터 두 달간 진행된 창비학당 강좌를 묶어 3권짜리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고조선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역사는 전근대편,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역사는 근대편, 해방 이후 역사는 현대편으로 나눠 각각 8개의 쟁점을 실었다.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 이기훈 연세대 국학연구원 교수,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각권의 기획자로 나섰다.

첫 번째 쟁점은 강단사학계와 재야사학계가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는 고조선의 시공간적 범주다.

이에 대해 송호정 한국교원대 교수는 "동아시아 청동기 문명의 본격적인 발달은 기원전 10세기 이후부터"라며 "고조선 역사의 출발 시점은 그 이후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고조선이 처음부터 광활한 영토를 거느린 국가였다는 재야사학계의 시각은 우리 역사와 민족에 대한 지나친 우월의식이 작용한 결과라고 비판하면서 "고조선 역사의 실체를 냉정하게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찬승 한양대 교수는 근대편에서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분석해 남한 단독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일이 아닌 정부수립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당시 한국인에게는 생소한 개념인 '민주공화제'를 내세웠고, 1941년에는 정치·경제·교육에서의 균등을 강조하는 '삼균주의'를 건국 강령으로 발표했다.

임시정부의 삼균주의는 1948년 7월 만들어진 제헌헌법에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기하고"라는 조문에 반영됐다.

민주공화제와 삼균주의라는 대한민국의 사상적 토대를 놓고 독립운동 세력을 결집해 항일투쟁을 벌인 임시정부의 중요성을 떠올린다면 우리나라가 건국된 시점은 임시정부 수립일이 돼야 한다는 것이 박 교수의 생각이다.

이와 함께 유지아 경희대 연구교수는 현대편에서 한일 관계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그는 미국의 중재로 한일 국교정상화가 이뤄지면서 양국의 현안이 완전히 정리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지금까지도 양국이 서로 다른 관점으로 역사를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전근대편 252쪽, 근대편 280쪽, 현대편 288쪽. 각권 1만5천원.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