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데이터베이스 구축…100주년 맞는 2019년 공개
(세종=연합뉴스) 이웅 기자 = 국사편찬위원회가 일제강점기에 살아있는 민족정신을 대변한 3·1운동과 관련한 역사적 사료들과 분산된 정보를 통합해 디지털 정보화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3·1운동을 쉽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국민들의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학계의 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사편찬위원회는 3·1운동의 모든 정보를 총망라하고 이를 지리정보시스템(GIS)와 연동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2019년 3월에 공개할 예정이다. 전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은 2021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1919년 3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수개월에 걸쳐 전개된 3·1운동은 신분과 지역을 넘어선 전민족적인 독립운동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직접적인 계기가 됐으며, 3·1운동의 의의는 우리 헌법 전문에도 명시돼 있다.
그동안 학계를 중심으로 3·1운동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하지만 관련 자료가 너무 방대하고 자료 간의 편차도 커, 총 시위 건수나 참여 인원, 사망자, 부상자 등 기초적인 사실이나 통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신뢰할만한 데이터베이스는 구축되지 않았다.
이번에 구축되는 3·1운동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시위정보와 공간정보로 구성된다. 시위정보에는 일제 측 보고문건 및 판결문·신문조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간행한 한일관계사료집, 국내에서 활동하던 외국인 선교사의 본국 보고서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공간정보는 시위대의 규모, 이동 경로, 주요 시위 장소 등을 디지털 지도상에서 실감 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번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김광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은 "3·1운동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학계는 물론 일반 국민도 3·1운동 관련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돼 독립운동사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크게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사편찬위원회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 자료집 발간 등을 병행해 3·1운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환기하고 3·1운동 관련 연구를 심화하는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abullapi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