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美·中만 믿을 수 없다…인도·중동 공략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올해 우리나라 수출을 둘러싼 환경은 녹록지 않다.
보호무역주의를 주창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로 인한 중국과의 갈등 등 불확실성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미국, 중국 등 일부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시장 다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눈여겨보는 시장은 인도, 중동,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등 신흥국이다.
인도는 인구 12억5천만 명, 구매력 기준 국내총생산(GDP) 세계 3위의 거대시장이다.
6개 아랍 산유국이 모인 걸프협력회의(GCC)는 1인당 GDP 3만3천 달러의 높은 소득 수준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이고, ASEAN도 연평균 5%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포스트 중국'으로 떠올랐다.
산업부는 "올해 수출상담회, 무역사절단 파견사업 중 67%를 상반기 중 앞당겨 시행하는 과정에서 신규 추진 행사는 신흥시장에 집중적으로 배치할 것"이라며 "성장세가 높고 중산층이 많은 나라는 소비재 수요가 높아 소비재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선진시장에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편다.
EU는 수입 수요가 증가하는 자유무역협정(FTA) 수혜품목과 고급 소비재 수출을, 일본은 실버상품·화장품 등 현지 수요가 높은 제품과 자동차부품·건설 기자재·사물인터넷(IoT)·핀테크 등 유망분야 수출을 확대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수출에서 미국과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38.5%에 달한다"며 "수출시장 다변화는 특정 지역의 상황 변화로 생길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도를 정비한다.
126개 재외공관·무역관 공동 '현지대응반'을 가동해 수입규제, 비관세장벽 등과 관련한 기업 애로를 발굴하고 신속한 해결을 지원한다.
철강·석유화학 등 수입규제의 주타깃이 되는 업종을 대상으로는 대응반을 상시 운영하고 무역협회 내 '수입규제 대응센터'를 확대·개편해 개별업체를 원스톱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시장 다변화로 외연을 넓힌다면 대내적으로는 2.6%에 불과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을 늘리는 데 주력한다.
정부는 코트라(KOTRA) 등 8개 기관의 18개 지원사업을 통해 올해 내수기업 6천 개를 수출기업으로 전환하고 5년 내 3만5천 개를 수출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수출 우수기업에는 연구개발(R&D) 과제 선정 시 우대가점을 적용하는 등 지원 제도를 상반기 중 마련하고 해외 글로벌기업으로의 납품기회를 늘리기 위한 '글로벌 파트너링'(GP) 사업을 지난해 21회에서 올해 40회로 확대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자금 지원을 위한 무역금융은 72조 원으로 지난해보다 4조 원 증액한다.
또 아르헨티나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등급이 상향조정된 7개 신흥국을 대상으로 한 우량 수입업체의 무역보험 한도는 두 배로 늘린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