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이전 추진부터 예비 후보지 발표까지

입력 2017-02-16 17:32
수정 2017-02-16 22:00
대구공항 이전 추진부터 예비 후보지 발표까지

2007년 주민대책위 활동 본격화…영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우여곡절

(대구=연합뉴스) 이재혁 기자 = 대구 시민 숙원인 공군 대구기지 K-2 이전과 새 공항 건설 사업이 예비후보지 발표로 가시화했다.

대구 군공항 이전 요구는 2007년 11월 'K-2 이전 주민비상대책위원회'가 발족하면서 본격화했다.

전투기 이·착륙으로 인한 소음과 재산권 피해에 시달린 동·북구 주민이 주축이 됐다.

2002년 김해공항 민항기 추락사고를 계기로 2005년 영남권 5개 시·도가 건의한 신공항 건설사업을 정부가 본격 검토하던 참이었다.

대구 군공항 역사는 193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군이 현재 자리에 활주로를 만들어 군공항으로 사용했고, 한국전쟁 때 미군이 'K-2'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에는 제11전투비행단이 김포에서 옮겨와 지금까지 주둔하고 있다.

당시에는 시 외곽이었지만 도시가 팽창해 소음, 고도제한, 도시계획 문제가 지역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K-2 이전을 촉구하는 서명에 시민 40만여명이 참여하고, 17·18대 대통령선거에서 후보들도 이를 공약했다.



이런 가운데 군공항 이전과 별도로 2007년 3월 영남권 신공항 건설 1단계 타당성 조사 용역이 시작됐다.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간 유치전이 뜨거웠지만 2011년 3월 정부는 '경제성이 미흡하다'며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했다.

대구시는 k-2 이전에 주력해 2013년 4월 '기부 대 양여' 방식을 도입한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끌어냈다.

이듬해 5월 K-2 터 개발 이익금으로 새 군 공항을 건설하는 내용을 담아 이전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다.

1년 뒤 정부가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신공항 건설을 다시 추진해 K-2 이전 기대감도 높아졌다.

신공항 건설로 대구공항을 폐쇄하면 터를 개발할 수 있어 기부 대 양여 방식 K-2 이전이 현실화할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그러나 지난해 6월 김해공항 확장안 발표로 신공항 건설이 무산돼 K-2 이전도 불투명해졌다.



민심 악화로 대구시장과 지역 국회의원이 대책 마련을 촉구하자 정부는 20여일 만에 대구공항 통합이전 안을 내놨다.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옮기고 터를 개발해 재원을 마련하기 때문에 정부로서는 재정 부담을 덜며 공항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해 지역 민심을 다독일 수 있는 방안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까지 유치전에 뛰어든 지역을 포함해 대구와 경북 11개 시·군 20곳을 대상으로 예비이전 후보지 조사용역을 하고 이날 결과를 발표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통합신공항 건설은 숙원이자 미래 생존권이 달린 사업이다"며 "새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데 시민이 적극 동참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yi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