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K스포츠 기부 53개사 중 이사회 거친 곳은 5곳뿐(종합)
KTㆍ포스코, 이사회 결의까지 마쳐…현대ㆍ기아차ㆍ모비스는 이사회 보고만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최순실 사태'가 드러나는 계기가 된 미르·K스포츠 재단에 거액을 출연한 53개 기업 가운데 출연 사실을 이사회에 보고하는 등 정식 절차를 밟은 기업은 겨우 5곳 뿐인 것으로 드러났다.
8일 재계에 따르면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출연금을 낸 기업은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그룹 계열사를 비롯해 총 53개였으며, 이중 이사회 결의 절차까지 완료한 곳은 KT와 포스코 단 2곳에 불과했다.
그리고 이사회에 보고한 기업은 3곳으로, 모두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이었다.
현대차그룹은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총 128억원의 출연금을 냈다.
현대차 68억8천만원, 현대모비스[012330] 31억9천만원, 기아차[000270] 27억3천만원 등 3사가 이 금액을 나눠 냈다.
이 과정에서 기아차와 현대모비스는 기금을 낸 2016년 상반기에 각각 이사회 산하 투명경영위원회, 윤리위원회에 이를 공식 안건으로 보고했다. 두 회사는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이를 공시했다.
두 회사 이사회 관계자들은 "위원회의 정관 규칙에 기금 출연 등에 대해 실적 보고를 하게 돼 있어 그에 따라 보고를 했다"며 "출연 성격과 출연금 규모를 봤을 때 '의결 사항'은 아니라고 판단해 '보고 안건'으로 올렸다"고 설명했다.
3개사 중 현대차의 경우 이를 공시하지 않았으나, 이사회 산하기구의 보고 문건에 재단 출연 내역을 포함시켰다.
2015년 11월 미르재단에 46억원을 낸 사실이 2016년 1월말 이사회에서 사회공헌 비용 집행 세부 실적 보고 문서에 '문화재단(미르) 기부'라는 항목으로 적시됐다.
또 2016년 3월말 K스포츠에 23억을 납부한 사실은 임박한 4월 정기이사회 대신 7월 말에 열린 이사회에서 보고 문건에 포함됐다.
이와 관련, 이사회 투명경영위에서 재단 출연을 논의하거나 사후보고로 다뤘던 현대차그룹 3사는 거액을 재단에 기부하면서 이사회에 알리지 않은 대부분의 기업들에 비해서는 투명성 측면에서 낫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기업의 경우도 형식상 보고에 그치면서 사외이사들이 재단 출연의 적정성을 따져보는 등 제대로 된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던 한계가 있었다.
기아차와 현대모비스 모두 보고 당시 미르·K스포츠가 정상적인 조직인지, 이에 대한 출연이 타당한지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당시에는 미르·K스포츠가 뭔지 알려지지도 않았을 때"라며 "주의를 갖고 볼 필요가 있겠다는 이야기 정도만 나왔었다"고 전했다.
현대차의 경우는 이사회 산하기구 보고 문건에 K스포츠라는 표기 없이 '체육교류재단 지정기부금'이라고만 표기돼 있었다. 시점도 4개월이 지나 분기별 사회공헌기금 내역을 보고할 때 다뤄졌다.
현대차 이사회 관계자는 "이사회 투명경영위에서 출연 사실이 제대로 인지될 정도로 보고되고 다뤄지지 않았다"며 "출연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것들이 안건으로 다뤄지는데, 두 재단 출연 건은 애초 이사회에서 꼭 다뤄야 하는 건도 아니었고 대표이사 전결사항이었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기아차는 주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정을 할 때 관련 사실을 이사회에서 공유해 잠재적 리스크를 관리하자는 취지로 이사회에 투명경영위를 설치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2014년 한전 부지를 감정가의 3배가량에 낙찰받아 논란이 됐던 일을 계기로 투명한 의사결정과 주주 권익보호 등을 위해 만든 기구다.
투명경영위나 윤리위 같은 거버넌스위원회가 설치돼 있는데도 기능이 작동하지 않은 사례는 다른 기업도 마찬가지였다.
삼성물산[028260]도 2015년 7월 거버넌스위를 신설했으나 이번에 재단에 출연하는 문제는 다루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투명경영위를 비롯한 거버넌스위 제도가 갖춰졌다고 끝이 아니라 운영 경험이 축적돼야만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순실이 이번처럼 기업들에 돈 내라고 노골적으로 말할 수 없게 하려면 기업들이 거버넌스위 같은 '내부통제' 장치를 구축하는 게 급선무이겠지만 거기서 그칠 게 아니라 많은 운영 경험을 쌓고 적임자를 배치해야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