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② '평화 올림픽' 꿈꾼다…남북 해빙·동북아 협력
88 서울올림픽, 동서 진영 참여한 '평화의 제전' 경험
접경지 올림픽, 北 참가가 평화 올림픽 향한 '열쇠'
평창-도쿄-베이징 3연속 올림픽 개최…한중일 협력 프로젝트 가동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한반도 분단을 상징하는 38선 바로 아래 북위 37도에 위치한 강원도 평창.
한국 전쟁때 동족 간에 총탄이 오갔던 격전지였던 평창은 꿈꾼다. 1년 앞으로 다가온 동계 올림픽이 평화와 통일의 한마당이 되는 꿈을…
고대 올림픽은 통합과 평화의 이념에서 출발했다. 일상처럼 전쟁을 벌였던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고대 올림픽이 열렸을 때만큼은 휴전을 선포했다. 개최지인 올림피아(Olympia) 지역은 중립 및 불가침 지역이었다.
한반도는 올림픽 정신을 제대로 구현한 경험이 있다. 냉전이 한창이던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을 동서 진영 모두가 참여하는 '평화의 제전'으로 치러냈다. 앞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과 1984년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은 모두 상대 진영의 많은 나라가 보이콧한 '반쪽 올림픽'이었고, 서울에 와서야 비로소 '완벽한 올림픽'이 복원됐다.
서울 올림픽이 끝난 뒤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서울 대회는 올림픽 사상 올림픽 이념을 실현한, 가장 훌륭하고도 가장 세계적인 경기였다"며 평가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평화의 올림픽', '통일의 올림픽'이 되기 위한 필수 요소중 하나는 북한의 참가다. 30년 전 서울 올림픽 때도 못 이룬 숙원이기도 하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인 대한민국, 그것도 남북 접경지역인 강원도의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한다면 그 자체만으로 커다란 의의를 지니게 된다.
나아가 평창 동계올림픽이 한·중·일 동북아 3국의 긴장을 녹이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는 기대섞인 전망도 있다.
현재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안보지형에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평창을 시작으로 도쿄(東京) 하계올림픽(2020년),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2022년)이 2년 단위로 차례로 열린다는 점에서다.
◇ 北,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할까
평창은 한국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 가운데 하나다. 이곳에서 목숨을 잃은 참전용사들의 유해 발굴작업이 아직도 진행되고 있다.
이로부터 60여 년이 지난 현재 평창은 세계적인 수준의 알펜시아 스키점프 센터와 바이애슬론 센터 등을 갖춘 동계스포츠의 축제장으로 탈바꿈했다.
북한이 참가한다면 남북이 총부리를 겨누던 장소였던 평창은 남북 선수들이 함께 선의의 경쟁을 하며 땀방울을 흘리는 무대가 되는 셈이다.
북한의 참가 문제에 대해 이희범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장은 지난해 6월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북한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며 "평화 올림픽이 평창 대회의 목표 중 하나"라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이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 선수단을 출전시킨 전례가 있어 북한의 참가가 비현실적인 것은 아니다. 북한은 당시 폐회식에는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 최룡해 당시 노동당 비서, 고(故) 김양건 전 대남담당 비서 등 실세들을 파견했다.
남북한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을 시작으로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동계올림픽과 도하 아시안 게임 등 굵직한 국제대회에서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입장하면서 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다.
그러나 북한의 참가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현재 남북관계가 대화 채널이 모두 끊어져 있을 정도로 '빙하기'로 접어든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에 적극적인 대북 화해 정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많다.
오경식 강릉원주대 교수는 24일 "정부의 지속적이고 일관된 원칙의 대북 완화정책이 필요하다"면서 북한의 참가를 유도하기 위한 남북한 스포츠 교류 의정서 제정 추진 등을 제안했다.
조기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차기 정부에 올림픽 분산개최 추진 등 기대를 보내는 시선도 적지 않다.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평창과 가까운 원산지역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마식령 스키장과 국제비행장을 건설하는 등 큰 관심을 쏟고 있는 곳"이라며 "차기 정부가 원산과 올림픽 분산개최라는 결단을 통해 남북관계의 해법을 풀어가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대선 주자인 안희정 충남지사는 최근 '강원 평화선언'을 통해 북한 선수단에 대한 참가·훈련비 지원, 성화 봉송시 북한 영토 통과, 개·폐회식 공동 문화 공연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아시아 시대' 여는 올림픽…한중일 협력 프로젝트 가동 계기로
우리나라는 현재 중국, 일본과 각각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와 위안부 소녀상 설치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을 겪고 있다.
중일 양국은 일본이 2012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에 대한 국유화를 선포한 이후 크고 작은 마찰을 벌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냉전 시기 미국과 중국간 국교 수교의 물꼬를 튼 것이 '핑퐁 외교'였던 것처럼 평창 올림픽이 한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의 관계 개선에 있어 마중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조심스러운 기대도 나온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2018년)을 필두로 도쿄(2020년 하계올림픽), 베이징(2022년 동계올림픽)으로 이어지는 올림픽의 동북아 지역 3연속 개최는 한·중·일 3국은 물론 세계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갖게 된다.
이 같은 기대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지난해 9월 평창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지금은 아시아의 시대"라면서 "세 차례 올림픽이 같은 대륙, 그것도 지리적으로 인접한 곳에서 연달아 개최되는 것은 올림픽 역사상 처음"이라고 말한 것에서도 확인된다.
평창, 나아가 동북아를 세계 평화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구상의 첫 단추는 이미 끼워졌다. 지난해 9월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한·중·일 3개국 스포츠장관 회의에서 '평창 선언문'이 채택된 것이다.
세 나라는 선언문을 통해 "국가 간 스포츠 교류 활동을 통해 상호 이해 및 신뢰 촉진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 공존을 위해 노력한다"고 뜻을 모았다. 아울러 3개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들어 올림픽 개·폐회식장 입구에 세워질 '2018 평화의벽·통합의문' 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점도 고무적이다. 현재 지역사회는 물론 정치권과 일반기업들의 참여도 이어지고 있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는 "정부간 외교나 군사안보 채널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할 때는 민간이나 사회·문화쪽의 다양한 교류가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며 "2년마다 한·중·일에서 중요한 스포츠 이벤트가 있다는 것은 좋은 기회로,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지난달 '평창 동계올림픽 테스트 이벤트-국제빙상연맹 쇼트트랙 월드컵 개회식'에서 축사를 통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나타내면서 "올림픽을 통해 동북아 지역 평화가 더욱 공고해지고 세 나라 간 협력도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평창을 통한 평화의 꿈이 실현될지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