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발전단지 '찬밥신세'…전국 곳곳서 진통

입력 2017-01-10 14:47
해상풍력발전단지 '찬밥신세'…전국 곳곳서 진통

주민 수용성·해양생태계 훼손 논란 해결이 과제

(전국종합=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전국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와 어민 반대에 부딪혀 진통을 겪고 있다.



깨끗하고 안전한 신재생에너지인 해상풍력이 지역 주민의 공감을 얻지 못해 '찬밥 신세'가 되고 있다.

육상과 비교하면 소음과 진동 피해가 작은 장점이 있는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경제성을 극복하면서 주민 수용성까지 해결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부산에서는 고리원전에서 해운대 청사포로 이어지는 해안에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민간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영국투자업체가 주도하는 민간업체(지윈드스카이)가 2025년까지 2조2천억원을 들여 길이 1.2㎞ 해안에 540㎿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올해를 񟭞 클린에너지 도시 원년'으로 선포한 서병수 부산시장이 지난 6일 기장군 일광면 동백마을을 찾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브리핑을 받는 등 관심을 보였다.



민간업체는 사업 일부를 주민참여형 지분으로 구성하겠다고 제안했으나 기장군과 일부 어민이 반발하고 있다.

어민들은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면 소음과 진동이 예상될 뿐 아니라 해양생태계 파괴와 해상사고 등이 우려된다"며 주장했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과 관련해 기장군과 사전 협의가 전혀 없었고 주민 수용성 조차 확보되지 않았다"며 "기장 연안은 해양관광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는 곳으로 부산시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차원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울산시 북구 강동 앞바다에 7㎿짜리 풍력발전기 28기를 설치하는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어민들이 어획량 감소 등을 우려하며 반발해 아직 착공하지 못하고 있다.

전북 고창 부안군 해역에서는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고창과 부안지역 어민들은 반대하고 있다.

2020년까지 실증단계(80㎿)와 시범단계(400㎿), 확산단계(2천㎿)로 나눠 2천500㎿ 규모의 풍력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로만 12조원 넘게 들어가는 대규모 사업이다.

새만금지구에도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총 4천400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한전KPS㈜, 미래에셋 등이 '새만금 해상풍력발전주식회사'를 설립해 4월부터 새만금 방조제 인근에 국내 최대 규모(99.2MW급)의 발전단지를 2018년까지 조성하려는 것이다.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6일 새만금 해상풍력주식회사와 '해상풍력발전사업 합의 각서(MOA)'를 체결했으나, 전북도는 "해상 풍력발전단지는 새만금종합개발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사업으로 '명품 새만금' 개발에 오히려 방해된다"며 반대했다.



바람의 섬인 제주에서는 지난해 9월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발전기가 가동을 시작했다.

제주시 한경면 두모리와 금등리 해상에 7천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3㎿급 풍력발전기 3기가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한림, 대정, 월정·행원, 표선, 한동·평대 등 5곳에서 추가로 해상풍력발전기를 설치 중이거나 설치하기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반면, 해양환경단체는 "해양생태계 훼손과 제주 남방큰돌고래 서식처 파괴, 어업 피해가 예상된다"며 "해상풍력발전지구로 지정된 제주 대정읍 앞바다를 남방큰돌고래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라"고 촉구했다.

최수영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10일 "원전과 석탄을 대체하는 신재생에너지는 공익성을 지니고 있지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등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민간이 주도하는 해상풍력도 주민이 참여하는 형식으로 지역과 상생하는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윤찬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상풍력발전은 조선기자재산업에 파급 효과가 크고 신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지원하고 있다"며 "연구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으로 어업 피해는 없고 오히려 주변에 부착하는 해양생물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c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