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 산불이 나흘째 꺼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밤사이 영향구역이 크게 늘어났다.
산림 당국은 25일 오전 5시 현재 산불영향구역이 1만2천565㏊로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00년 4월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천913ha), 2022년 3월 경북 울진·강원 강릉·동해·삼척 산불(2만523ha)에 이어 국내 산불 피해 규모로 세 번째로 큰 것으로 파악된다.
산불영향구역은 전날 저녁에 비해 의성 3천800㏊, 안동 200㏊가 확대됐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특정 지역으로 산불 피해가 늘어났다기 보다 의성 단촌면, 안계면 등 기존에 화선의 영향권에 있던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피해 면적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밤사이 국지적으로 강한 바람이 반복적으로 분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밤시간 바람 평균 속도는 초속 3.5∼4m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10m까지 불어 산불이 확산됐다.
날이 밝으며 산불 진화작업이 재개됐다. 당국은 이날 아침 의성과 안동 산불 현장에 헬기와 소방차, 진화대원 등을 대거 투입해 진화 작업에 나섰다.
국가 소방동원령이 추가 발령되어 의성지역에 소방 펌프차 등 장비 226대가 투입됐다.
안동에서는 이날 아침 공무원과 산불 전문진화대원 등 500여명이 산불 현장으로 향했다.
다행히 현장에 짙은 안개가 껴 바람이 비교적 불지 않아 진화하기 좋은 여건인 것으로 전해졌다.
밤사이 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2천700여명은 주요시설과 민가 주변에 방화선을 구축했다.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께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현재 동쪽 방면으로 확산한 상태다.
전체 화선 214.5㎞ 중 불이 꺼지지 않은 96.3㎞에서 진화 작업 중이다.
이 화재로 의성군 주민 1천500여명이 의성읍 체육관 등으로 대피해 있다.
안동에서도 길안면 등 주민과 요양원 입소자 등 1천200여명이 대피했다.
산불과 함께 연기가 많이 발생해 25일 0시 15분부터 중앙고속도로 의성IC~남안동JCT 양방향이 전면 차단됐다가 오전 5시 40분께 통행이 재개됐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