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환율 1,400원 육박…금융위기 이후 최고

입력 2024-12-31 06:48


원/달러 환율이 최근 1,500원 근처까지 치솟아 4분기(10∼12월) 평균 환율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3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원/달러 환율(일일 종가 기준) 평균은 1,398.75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1분기(1,418.30원) 이후 15년 9개월 만에 가장 높다. 그보다 더 높았을 때는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1,596.88원) 정도다.

분기 평균 환율은 올해 1분기 1,329.4원에서 2분기 1,371.24원으로 올랐다가 3분기 1,358.35원으로 내렸지만, 4분기에 1,400원 부근까지 다시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성공에 이달 비상계엄 사태 후 정치 불안이 더해져 원화가 약세를 나타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인하 속도가 둔화할 것이란 전망도 강달러 요인이다.

올해 주간거래 종가(1,472.5원)는 연간 종가 기준으로 1997년(1,695.0원) 이후 2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울외국환중개가 고시하는 매매기준율을 보더라도 마찬가지다. 매매기준율은 외국환중개회사를 통해 거래된 미국 달러의 현물환 거래량을 가중평균해 산출하는 시장평균환율로, 기업 재무제표 작성 시 환율 기준이 된다.

지난 30일까지 4분기 매매기준율 평균은 1,395.64원으로 2009년 1분기(1,415.22원) 이후 최고치다.

이에 연말 기업들이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적용되는 환율도 높아진다. 환율이 오르면 달러 표시 자산과 부채에 반영이 되고,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만 영향은 업종별로 차이가 있어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업 등은 환율 상승이 당장은 수익성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환율 상승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원자재 수입이 많은 철강이나 건설 업종은 환율 상승으로 비용이 올라가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금융업의 경우 외화 자산과 부채에 대부분 환헤지를 해놓은 금융지주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금융지주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업보고서 작성 시점에 맞춰 외화 자산·부채에 환 헤지를 해두는 경우 환율 변동 영향이 크지 않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