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치이고 중국에 쫓기고...위기의 K-반도체

입력 2024-12-31 05:30

복합적인 위기 속에 대한민국 경제를 지탱해온 반도체 산업도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주요 경쟁 국가들의 패권 경쟁에 휘말리면서 반도체 강국의 위상마저 흔들리고 있습니다.

전효성 기자입니다.


미국은 HBM을 비롯한 반도체 첨단 장비의 대 중국 수출을 통제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장비도 미국의 기술이 조금이라도 사용됐다면 규제 대상입니다.

미국 중심의 반도체 패권 경쟁에 한국 같은 동맹국들의 참여를 요구하는 셈입니다.

'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압박 수위는 한층 더 높아질 전망입니다.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게 보조금을 주는 칩스법을 '정말 나쁜 거래'로 평가하며 관세 압박을 예고 했기 때문입니다.

[김창범 / 한국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게는 정책 변화 가능성이 높은 트럼프 2기 시대는 거센 도전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의 인플레감축법 IRA나 반도체법 등을 고려해서 투자했던 우리 기업들은 향후 이러한 법안들이 어떻게 바뀔지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상황…]

미국에 맞서는 중국은 빠른 성장세를 앞세워 한국 반도체 기업을 뒤쫓고 있습니다.

중국의 대표 반도체 기업 창신메모리는 범용 D램(DDR4)의 저가 판매를 통해 올해 시장 점유율을 11.8%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이 회사의 2025년 점유율 전망치는 15.4%로 삼성전자(36.4)와 SK하이닉스(24.1%), 마이크론(17.4%)에 이은 4위에 오를 전망입니다.

특히 국내 업체의 주력 제품인 첨단 D램(DDR5) 양산에도 성공하며 기술력 격차도 크게 줄었다는 평가입니다.

실제 국내 기업들이 엔비디아에 HBM을 납품할 수 있을지 여부로 골머리를 앓는 동안,

중국 화웨이는 엔비디아에 대항할 제품(어센드910) 개발에도 성공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김기남 / 공학한림원 회장: 현재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도 엄중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과거 우리가 누렸던 기술적 우위는 점차 도전 받고 있고, 새로운 기술 영역에서는 치열한 추격전이 벌어지고…]

대만은 TSMC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생태계를 앞세워 한국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TSMC의 파운드리 점유율은 64.9%로 1년 전보다 7% 포인트 늘었는데,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 포인트 줄었습니다.

대만 반도체 생태계의 또 다른 축으로 평가받는 ASE는 전세계 반도체 패키징 시장의 4분의 1을 차지(27.6%)하며 압도적 영향력을 자랑 중입니다.

미국의 관세압박과 중국의 추격, 대만의 기술력 사이에 낀 K-반도체의 앞날은 더욱 불투명해졌습니다.

한국경제TV 전효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