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TV는 급변하는 투자환경 속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가 가득한 고품격 투자 콘텐츠,
길어지는 수명 만큼 더 많은 노후 준비가 필요해지면서, 퇴직연금 투자도 점차 바뀌고 있습니다.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묻어두던 투자자들이 점차 안정성과 수익성을 함께 갖춘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입니다.
퇴직연금 적립금 내 ETF 등 실적배당형 상품 규모는 올 9월말 기준 67조3천억원으로 지난 2020년에 비해 145% 증가했습니다. 그간 퇴직연금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혔던 원리금보장형의 저조한 수익률이 그 요인이었습니다. 장기 수익률 지표인 5년 및 10년 연환산 수익률을 살펴보면 원리금보장형의 수익률은 3%~4% 수준에 그치는 데 비해, 실적배당형 수익률은 은행·보험업권이 11~12%대, 증권업계는 13.89%에 달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이 노후를 책임질 중요한 자산과 동시에 장기 투자가 가능한 목돈인만큼, 투자 기간과 성향에 맞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13일
● 실물이전 한 달…실시간 거래 매력에 ETF '인기'
퇴직연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은 크게 원리금보장형과 실적배당형으로 구분됩니다. 원리금보장상품에는 정기예금과 ELB(파생결합사채), GIC(이율보증보험), RP(환매조건부채권) 등이 포함되고, 실적배당상품으로는 펀드와 ETF, TDF, 리츠, 채권 등이 있습니다. 리스크가 큰 레버리지·인버스 ETF나 파생형 ETF, 투자부적격채권, 주식형사채, 후순위채권 등은 투자할 수 없습니다.
이 중 ETF의 인기가 거셉니다. 퇴직연금 DC와 IRP 적립급 규모 상위 상품을 살펴보면 1~3위가 모두 ETF 상품이었습니다. 강정협 차장은 "특히 ETF는 주식을 매수하듯이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해 시장 급등락 시 바로 대응이 가능하고, 보수가 저렴하다는 점이 투자자들에게 매력 포인트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연령대가 높은 가입자들에게는 ETF 상품 중 자본차익에 배당까지 기대할 수 있는 상품들이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유지영 팀장은 "매달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월배당 ETF를 활용할 수 있다"며 "퇴직연금 내 위험자산 투자한도는 70%로 제한되는 만큼 30%는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채우고 나머지는 월배당 ETF를 편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TDF, 생애주기 따라 투자 비중 자동 조절
유 팀장은 이어 "퇴직연금 투자 포트폴리오를 짤 때 기본은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위험중립형은 실적배당형과 원리금보장형을 4대 6의 비율로, 공격투자형은 7대 3이나 그 이상으로 가져가면서 글로벌자산배분펀드나 최신 트렌드의 ETF를 담는 전략도 유효하다는 것입니다.
강정협 차장은 무엇보다 "적극적인 투자 성향을 지닌 가입자 중에서도 연령대와 투자 조건에 따라 원금 손실에 대한 회복력이 다를 수 있다"며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상품으로 배당형이나 인프라펀드 등을 주목했습니다. 또 최근에는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면서도 매달 배당수익을 지급하는 커버드콜전략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ETF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 차장은 "시시각각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기 쉽지 않은 투자자들을 위한 상품으로는 TDF가 있다"며 "투자자의 은퇴 시점을 목표로 투자 자산과 안정적인 자산 비중을 알아서 조절해주는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 전체 내용은 다음 링크를 통해 한국경제TV <투자의 재발견>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bQCBRIDnCDE">https://www.youtube.com/watch?v=bQCBRIDnC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