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실화냐…"2주에 1,700만원"

입력 2024-09-25 10:23
수정 2024-09-25 12:07


민간 산후조리원 가격이 적게는 2주 기준 130만원에서 많게는 1천700만원까지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산후조리원의 절반 이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몰려 있어 지역별 접근성 차이도 컸다.

25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7개 시도에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은 민간 436곳, 공공 20곳으로 모두 456곳이었다.

이 중 145곳(31.8%)이 경기도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12곳(24.6%)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만 전체 산후조리원의 56.4%가 몰려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두 지역을 제외하면 경남이 25곳(5.5%)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과 인천이 22곳(4.8%)으로 뒤를 이었다.

산후조리원이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으로 6곳(1.3%)이었으며, 광주·울산·제주가 각각 7곳(1.5%)이었다.

몇몇 지역에서는 지역 내에서도 조리원 쏠림 현상이 나타나 기초지자체 단위로 보면 산후조리원이 아예 없는 곳도 많았다.

충북은 11개 시군 중 9개 시군에 산후조리원이 없었다. 전북은 14개 시군 중 11개에, 전남과 경북에서는 각 22개 시군 중 14개에 산후조리원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곳으로 일반실 2주 이용 기준 가격이 1천700만원에 달했다.

가장 저렴한 곳은 충북에 있었으며 가격은 같은 기간 130만원으로 최고가 조리원과 10배 넘게 차이가 났다.

지난해 지역별 평균 가격은 서울이 4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가 370만원, 세종 347만원, 경기 332만원이었다.

평균 가격이 가장 낮은 곳은 전북으로 201만원이었고 경북 221만원, 충북 222만원이었다.

의원실이 2019년 대비 지난해의 지역별 민간 산후조리원 가격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광주 지역이었다.

광주의 평균 조리원 가격은 2019년에는 225만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370만원으로 4년 새 64.4%가 올랐다.

이어 부산 지역 상승률이 46.3%(190→278만원)였고, 경남은 38.1%(197→272만원)였다.

박희승 의원은 "저출생 시대 산모와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산후 돌봄이 절실하지만, 지방의 경우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원정 산후조리'를 하는 일이 없도록 남원을 비롯한 인구감소지역 등 취약지에 정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