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업계의 올 상반기 적자 폭이 더욱 확대됐습니다.
여기에 부동산PF 부실 여파로 건전성마저 악화되자,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의 자발적인 인수합병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장슬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올 상반기 3,804억 원의 적자를 낸 저축은행,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2,800억 원 가량 적자폭이 확대됐습니다.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대출문턱을 높이고, 충당금 적립을 늘린 영향입니다.
올 상반기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하면서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기업대출 연체율은 여전히 12%에 육박합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이날 설명회를 통해 "리스크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둔 전략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적자를 벗어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금융당국과 업계는 저축은행업권의 유동성비율이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고, 대손충당금적립률 역시 법정기준을 초과해 유지되고 있는 만큼 손실흡수능력은 충분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실제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과 비교했을 때 현재는 크게 낮은 수준인데다 당시 자기자본비율이 1%대였던 것에 비교하면 수치는 안정적이라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부동산PF 사업장 정리와 같은 과제가 남아있는 만큼, 저축은행의 인수합병이 필요하다는 시그널도 함께 제시했습니다.
박상원 금감원 부원장보는 일부 저축은행들이 문을 닫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질 단계는 아닌 상황"이라면서도 "현재 금융위원회가 저축은행들의 자발적인 인수합병을 유도하는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 저축은행의 인수합병을 활성화할 수 있는 규제 완화 방안이 조만간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수도권 저축은행은 비수도권과 달리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경우만 인수 대상이 될 수 있는데, 이 기준을 자기자본비율 10% 내외 수준의 저축은행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