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 회복'을 바탕으로 경기가 회복 중이라는 진단을 이어갔다. 넉 달째 낙관론을 유지했는데,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대표로 외부 평가기관과의 진단이 엇갈린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를 발표하고 "최근 우리 경제는 견조한 수출·제조업 호조세에 설비투자 중심의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을 보이며 경기 회복 흐름이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8일 KDI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5%로 낮추면서 '내수 부진'을 근거로 든 것과는 대조적이다.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투자·민간소비 등 내수 지표 부진 탓에 전분기 대비 역성장했다. 2분기는 정부가 '내수 회복 조짐'으로 본 기간이다.
최근 주요 내수 지표를 보면 6월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전달과 비교해 각각 1.0%, 4.3% 늘었다. 다만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모두 감소(-3.6%·-2.7%)세다.
건설투자는 최근 건설경기 부진으로 전월비(-0.3%), 전년동월비(-4.6%) 모두 줄었다. 다만 서비스 소비로 해석되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비(0.2%)·전년동월비(0.5%) 모두 증가했다.
6월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8.1%) 등 성장에 힘입어 전달보다 0.5% 늘었다. 7월 소비자물가는 집중호우·유가 상승 등 영향으로 상승 폭(2.6%)이 전달(2.4%)보다 확대됐다.
정부는 소비자 심리지수가 개선되고, 방한 관광객과 건설수주가 증가한 점 등을 향후 내수 지표의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백화점·할인점 매출액이나, 국내 기계수주 등이 줄어든 점은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했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원자재 가격 변동 가능성과 주요국 경기둔화 우려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민생 안정을 위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주요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