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식료품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2022년 우크라이나전 발발 이전 수준으로 내려갔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했다.
OECD 최신 자료를 인용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7일(현지시간) 2월 산업화된 국가 38곳의 식료품 소비자물가 연간 상승률이 5.3%를 기록해 1월(6.2%)보다 내려왔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2년 11월 고점 16.2%보다 크게 둔화된 수준으로 2021년 10월 이후 최저치다.
미국의 2월 식료품 물가 상승률(연간)은 2.2%로, 2022년 8월(11.4%) 고점보다 크게 내려왔고 2021년 5월 이후 최저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과 심각한 가뭄 피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급망 문제 등으로 2022년 세계 식료품 가격은 급등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식료품 물가 급등으로 지난해 전 세계 3억3천여만명이 식량 공급에 있어 심각한 불안정을 겪었다고 추정했다.
농업 전문 은행 라보뱅크의 카를로스 메라는 "농산물 물가는 우크라이나전 여파로 고점을 찍은 뒤 지난 2년간 크게 떨어졌으며 소매 수준에서도 인플레이션 둔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자산운용사 티로웨프라이스의 한 이코노미스트는 "공급망이 완전 정상화됐고, 가스 가격은 역사적으로 더욱 정상적인 수준으로 내려왔다.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은 흑해 회랑을 통해 재개됐다"면서 식료품 인플레이션 둔화 지속을 전망했다.
그럼에도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높은 식료품 물가가 지속되고 있다. 튀르키예는 리라화 약세 여파 등으로 지난달 식료품 물가 상승률 70.4%를 기록했다.
FT는 인도의 쌀 수출 금지 조치 등으로 쌀이 주식인 국가들의 식료품 물가가 계속 상승 중이라면서도, 곡물류를 비롯한 농산물 도매 물가의 하락으로 대다수 국가에서 인플레이션 둔화가 계속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또 농산물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식료품 소비자가격 상승이 멈추지 않았다면서, 소매가에서 농산물 가격의 비중이 비교적 작고 소매가에 반영되는 데 시차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