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 일 줄이야"…수도권vs지방, 자산 격차 '충격'

입력 2023-09-30 08:40
수정 2023-09-30 09:16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가구와 비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 격차가 커지면서 수도권 가구 자산이 70% 가까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가격 폭등이 주 원인으로 지목된다.

30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은 6억9천246만원으로 비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 4억935만원보다 69.2% 많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자산 격차는 점점 커지는 추세다. 2018년에는 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5억465만원)이 비수도권(3억4천220만원)보다 47.5% 많았는데, 이후 2019년 53.6%, 2020년 59.6%, 2021년 65.6%, 지난해 69.2%로 점차 격차가 벌어졌다.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인 우리나라 가구 자산 특성상, 몇년간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 것이 자산 격차 확대의 주된 요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자산 격차가 커지면서 전국 가구 총자산 중 수도권 가구 총자산의 비율인 '수도권 집중도'도 증가 일로를 걷고 있다. 이 수치는 2018년 57.8%에서 2019년 58.7%, 2020년 60.2%, 2021년 61.2%, 지난해 61.8% 등으로 높아졌다. 지난해 기준 전국 총자산의 약 62%를 수도권 가구가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돼 있고,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경제적 삶의 수준을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 조사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수치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소득 격차는 벌어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도권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근로소득 등 비교적 정기적이고 예측이 가능한 소득·2021년 연간)은 7천22만원으로 비수도권(5천832만원)보다 20.4% 많았다. 2018년 22.2%, 2019년 21.3%, 2020년 20.2%, 2021년 20.8%와 비교하면 격차가 비슷하거나 줄었다.

총 경상소득의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3.1%, 2019년 52.9%, 2020년 53.2%, 2021년 53.5%, 지난해 53.5%로 집계됐다.

김회재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자산·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있다"며 "비수도권으로 본사를 이전하거나 본사와 유사한 규모의 지사를 신설하는 기업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지역 본사제'를 추진하고, 지역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