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트라우마'…다시 뜨는 대기업 임대주택

입력 2023-09-01 17:46
수정 2023-09-01 17:46

최근 전세 사기와 역전세 우려 등으로 전세 시장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기업형 임대주택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기업이 직접 운영하는 만큼 편리하고 안전한 점이 부각된건데, 시장 안착을 위해서는 공공성 강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신동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KT가 서울 도심에 운영하고 있는 기업형 임대주택입니다.

기업이 직접 관리하고 운영하는 만큼 편리하고 안전한 점이 특징입니다.

특히 전세 사기나 역전세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박진우 / 리마크빌 영등포 센터장 : 기업형 임대주택으로 보증금반환이 투명하고 보안이 다른곳에 비해 철저해 입주민들이 만족하고 있고요. 전세사기 이후 보증금 걱정하는 고객들이 많아지면서 입주문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업형 임대주택은 정부가 관리하는 임대주택과 달리 민간회사가 집주인 역할을 합니다.

일반 임대주택보다 월세가 비싸지만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거주할 수 있고 나중에 내 집으로 매수할 수 있는 기회도 생깁니다.

주택을 관리하는 기업 입장에서도 기업형 임대주택은 매력적인 사업으로 꼽힙니다.

택지확보와 저리융자 등 공공지원을 받으며 임대기간 종료 후 분양전환 시 발생하는 이익까지 챙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KT를 비롯해 SK와 롯데 등 여러 대기업들이 기업형 임대주택 시장에 속속 들어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정부들어 기업형 임대주택 활성화를 예고한 바 있어 앞으로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다만 공공성 확보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과거 기업형 임대주택 '뉴스테이'가 민간 사업자에게 과도한 특혜를 줬다는 논란이 나오면서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기 때문입니다.

공공성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수익의 일정 부분을 영구임대주택으로 기부채납을 받는 방식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전세사기와 역전세 등 세입자들의 '전세 트라우마'를 기업형 임대주택이 어느 정도 해소해 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