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차의 고용 유발 효과가 전기차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교통연구원의 '전기차 전환이 국민 경제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하이브리드차의 고용유발계수는 생산규모 10억원당 5.58명으로 전기차(4.67명)보다 0.91명 높았다.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공표하는 산업연관표를 사용해 파워트레인별 경제적 가치 유발 계수를 도출했다.
산업연관분석은 특정 산업의 최종 수요가 증가할 경우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기존 산업연관표에 반영되지 않은 파워트레인별 원가 구성 및 중간재 투입의 특성을 담아 표를 재구성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최종 수요 10억원이 증가할 때마다 발생하는 평균 고용 유발 효과는 하이브리드차가 5.58명으로 내연기관(5.61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며, 전기차(4.67명), 수소연료차(4.39)가 뒤를 이었다.
자동차 전체 산업의 평균 고용 유발계수(5.56명)와 비교했을 때도 전기차와 수소차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
하이브리드차는 고용 유발 효과가 두 번째로 높았을 뿐 아니라, 생산 유발 계수(최종 수요가 증가할 때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생산 수준)는 2.52로 내연기관(2.49)보다 높았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특성(엔진+고용량 배터리)을 모두 갖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투입되는 부품이 많아 타 산업과의 거래 관계가 많아지면서 파급효과도 그만큼 누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내연기관차의 생산 비중이 축소되면서 자동차 부문의 노동 유발효과가 다소 약화할 수 있다"면서도 "정부가 배터리 및 전기장비 업종 등에서 국산화를 촉진한다면 전기차 확산에 따른 고용 위축 영향을 연착륙시킬 수 있다"고 했다.
나아가 연구원은 '제4차 친환경 자동차 기본계획'에 따라 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가 2025년 113만대, 2030년 300만대에 이를 경우 전체 산업에서의 취업 유발 규모는 각각 35만명, 232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세부 업종별로 봤을 때 반도체, 기타 전자부품, 전기 변환 및 공급제어장치, 전선 및 케이블, 전지 등 업종에서 취업 유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향후 충전 인프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 배터리 원자재 자립도 증가 및 폐배터리 순환 경제 관련 산업이 안착할 경우 추가적인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에 따른 고용 파급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