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지난 한 달 새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6조원이나 증가했습니다.
금리는 다시 오르고 있는데 가계빚은 계속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 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형교 기자입니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지난달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7월 한 달 동안 은행 가계대출은 6조원가량 늘었는데, 증가 폭이 2021년 9월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
이처럼 가계부채가 불어난 데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가 배경에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특례보금자리론과 역전세반환대출 등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금융상품이 늘어나면서 부동산 시장에 회복 기대감을 불어넣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로 전체 가계대출의 80%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은 지난 3월 이후 5개월 연속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같은 대출 증가세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은 “주택 거래량과 주택담보대출 실행 간에 2~3개월가량 시차가 있다”며 “6월 아파트 거래량이 회복 흐름을 보인 점을 감안하면 3분기에도 주택자금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문제는 절대적인 부채 규모가 커지는 동시에 부채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국내 은행 연체율은 작년 말 0.25%에서 올해 5월 0.4%로 0.15%포인트 상승.
가계부채가 부실해질 위험이 그만큼 더 커졌다는 뜻입니다.
지난달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금통위원 6명 모두 “가계대출 증가세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허준영 /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 우리 경제가 하반기에 불확실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금리로 가계부채 문제에 대응하는 건 위험이 크다고 생각하고요. (DSR·LTV 등)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접근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금융당국은 내일(10일)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과 함께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열어 최근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부동산 시장 연착륙과 가계부채 관리 사이에서 정부의 ‘묘수 찾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서형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