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에도 성별간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년 이상 장기간 국민연금에 가입한 후 연금을 타는 사람의 수가 남성이 무려 여성의 6배에 달했다. 경력 단절 등의 이유로 국민연금의 사각지대에 놓인 여성이 많다는 분석이다.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성별 연금 격차의 현황과 시사점·이다미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의 2022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입기간이 20년 이상인 수급자의 수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72만8천900여명과 12만500여명으로 남성이 여성의 6.0배였다.
다만 가입기간이 10~19년인 수급자수가 남성 117만7천700여명, 여성 100만6천여명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가입 기간을 따지지 않더라도 여성 수급자가 남성 수급자보다 눈에 띄게 적었다. 통계청의 2022년 자료(2021년 기준)를 보면 65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 중 남성은 239만5천여명, 여성은 181만9천여명이었다. 해당 연령대 동일 성별 인구 대비 수급자의 비율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64.4%와 37.5%로 큰 차이가 났다.
여성의 경우 유족연금 같은 파생적 수급권을 통한 수급자가 많았다. 50세 이상 여성 수급자의 수는 187만7천700여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78만5천200여명이 이런 파생적 수급권으로 연금을 수급하는 사람이었다.
보고서는 가입률을 따져보면 남녀간 격차가 크지 않지만 30대 후반에서는 여성 가입자가 남성보다 한참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2020년 연말 기준으로 20~24세 연령대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가입자 수가 많지만 35~39세 연령대에서 가입자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49만3천여명 적었다.
이에 보고서는 "출산과 양육으로 인해 여성이 경력단절을 경험하고 있으며, 노동시장에 계속 남아서 일하는 여성의 일자리 중 상당수는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다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