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차량의 배출가스 규제를 대폭 강화하면서 현대자동차 등 내연기관차를 주로 판매하는 자동차 업체들이 비상에 걸렸다. 미 정부는 2032년까지 전체 승용차의 3분의 2를 전기차로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경쟁사를 따돌릴 기회라고 판단한 듯 규제 강화를 환영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지난 4월 공개한 차량 배출 규제안은 2027년부터 2032년까지 단계적으로 차량의 이산화탄소(CO₂), 비메탄계 유기가스(NMOG)와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 등의 배출 허용량을 줄여가는 게 골자다.
7일(현지시간) 미국 정부 관보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5일 EPA에 제출한 공식 의견에서 EPA의 배출가스 규제안이 자동차 업계가 직면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자동차 업계 입장에서는 강화된 기준을 맞추려면 내연기관차의 기술 개선으로는 한계가 있어 배출량이 적은 전기차 판매 비중을 대폭 늘릴 수밖에 없다. EPA는 새 기준이 도입되면 전기차가 2030년 전체 승용차의 60%, 2032년에는 6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전망에 대해 현대차는 너무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EPA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전기차 보조금 효과로 전기차 수요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IRA의 까다로운 배터리부품·핵심광물 요건을 맞출 수 있는 차량이 많지 않다는 지적이다.
전력망과 충전소 등 전기차 보급 확대에 필요한 기반 시설도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또 IRA 보조금을 받기 위해 배터리 공급망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큰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EPA의 새 기준을 맞추려면 차 한 대당 드는 비용이 EPA가 예상한 1천200달러(2032년식 기준)보다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순수전기차(BEV) 외에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와 수소연료전지차(FCEV)도 판매하는 현대차는 EPA가 전기차 보급 목표를 계산할 때 BEV만 고려하기로 한 점도 문제를 제기했다.
현대차는 바이든 행정부가 2021년에 발표한 '2030년까지 전기차 50%' 목표도 이미 공격적이라며 새 규제안은 문턱을 급격히 높이면서 자동차 업계가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없앤다고 지적했다.
같은 그룹사인 기아도 유사한 의견을 제출했다.
앞서 현대차를 포함해 GM, 포드, 도요타, 혼다, BMW, 메르세데스 벤츠 등 주요 자동차 회사 대부분을 대변하는 미국 자동차혁신연합(AAI)도 지난달 EPA의 규정이 너무 엄격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쉽지 않다며 규제안 완화를 촉구했다.
AAI는 EPA의 전기차 보급 목표를 2030년 40∼50%로 낮추고 이후 수치를 정하지 않고 2032년까지 늘려가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EPA가 BEV로 더 신속한 전환을 가능케 하는 강화된 배출 규제 기준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EPA가 규제안을 최종 규정으로 확정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의견서를 냈다. 심지어 테슬라는 EPA 목표치보다 높은 '2032년까지 전기차 69%'를 달성할 수 있는 더 강화된 규제를 제안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