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로 자리잡은 '3차원 AI 의료' [IPO 프리보드]

입력 2023-03-31 19:25
수정 2023-04-03 11:33

특히 초음파와 엑스레이 등 2차원 솔루션에서 컴퓨터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활용한 3차원 의료 솔루션이 시장의 흐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양재준 기자와 알아 보겠습니다.

최근 삼성전자와 GE헬스케어 등도 인공지능 의료기기 시장을 겨낭해 제품을 선보였죠?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와 삼성메디슨은 산부인과, 정형외과, 영상의학과 등에 사용되는 초음파 진단기기에 인공지능을 활용해 진단을 보조하는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또, 환자의 체형에 맞게 엑스레이 조사 조건을 설정하고 카메라와 AI 기술로 사용 편의성을 높인 디지털 엑스레이도 전시했습니다.

GE헬스케어는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이 장착된 디지털 자동화 툴로 환자와 의료진의 편의성을 높인 초음파 장비와 영상 진단 의료기기, 심전도 모니터링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하드웨어라 할 수 있는 진단기기 제품에 인공지능 솔루션을 탑재하면서 의료 소프트웨어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엑스레이와 초음파를 활용한 인공지능 의료솔루션의 경우 대부분 2차원적인 영상 진단을 통해 의료진의 보조 수단 역할에 치중했지만, 최근 출시되는 인공지능 의료솔루션은 CT와 MRI 등 3차원 영상을 입체적으로 분석해 판독, 진단, 예측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루닛을 비롯해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휴런, 아이도트, 메디픽셀 등 국내 인공지능 의료업체들은 CT 영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진단, 정량화하는 솔루션 고도화에 한창입니다.

여기서 업계 관계자 얘기 들어 보시겠습니다.

[인터뷰 : 정재훈 아이도트 대표 / "요관결석에 처음 개발된 니즈는 한양대 응급의학과 오재훈 교수팀하고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이동건 교수팀하고 같이 저희가 나이파(NIPA,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과제를 통해서 과제 제안을 했던 것들이고요. 일반 병원에서 심평원의 보험 수가를 신청을 할 때 요관 결석의 크기가 4mm이 이상일 경우에 보험수가를 청구할 수 있는 그 기준을 심평원과 같이 만드는 과정에 있었던 거고요. 지금은 저희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아마도 유일하게 신체의 요관에 대한 분포라든가 형태를 인공지능으로 전부 분석할 수 있게 저희가 데이터화가 돼 있습니다.”]


실제 의료현장에서의 인공지능 의료 솔루션 개발도 확대되고 있다면서요?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과 고려대 안암병원은 OCT(광간섭단층촬영) 영상 정보를 활용한 모든 관상동맥 질환에 적용 가능한 머신러닝 기반의 심혈관질환 진단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또,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연구팀은 두경부 X-ray 영상(Cephalogram)을 분석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한림대학교의료원 의료인공지능센터는 CT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해 충수염을 자동 판독해 주는 AI모델을 개발, 신속한 환자의 진료가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의료업계의 입장은 무엇인가요?


하나는 필립스, GE헬스케어, 삼성메디슨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의 의료기기업체들의 신규 제품이나 기존 제품 성능 개선시 협업을 통해 의료 솔루션을 탑재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의료기기업체로부터 의료 솔루션의 판매에 따른 라이선스 비용을 수령하는 형식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개발한 의료 솔루션을 직접 의료기관에 납품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국내에서는 의료수가 적용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AI 의료기기를 통한 진단같은 '새로운 의료행위'가 건강보험권에 진입하려면 해당 행위가 보조가 아닌 자체로 임상적 가치를 지닌다는 걸 입증한 후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해야 합니다.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하지 못하면 건강보험코드가 부여되지 않아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진료비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인공지능 의료업체들은 대부분 해외 의료기관과 제휴해 솔루션을 판매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정부 부처에서도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일부 국책 과제를 지원하고 있지만, 국내 의료 AI분야를 키우기 위해서는 임상 데이터를 활용해 임상현장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