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취업자 31만명 증가 '2년만에 최저'…제조업 두달째 내리막

입력 2023-03-15 10:04
수정 2023-03-15 10:07
취업자 증가 폭 9개월째 둔화...60세 이상 빼면 -10만명
청년 취업자, 2년 만에 최대폭 감소


지난 2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1만2천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증가폭이 2년 만에 가장 작었다.

취업자 증가분의 대부분은 노인 일자리로, 60세 이상을 제외하면 취업자 수가 10만명 넘게 줄었다. 청년 취업자 수는 2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또 제조업 취업자는 두달 연속 줄어 고용시장도 본격적으로 경기 둔화의 영향권에 들어오는 모습이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71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만2천명 늘었다.

40만명 선이 무너지며 2021년 2월(-47만3천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취업자 수가 103만7천명 늘어 22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컸다. 또 고령화 등 인구 구조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부터 2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증가 폭은 지난해 6월(84만1천명)부터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둔화했다.

지난달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41만3천명 늘었지만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10만1천명 감소했다.

50대(7만7천명), 30대(2만4천명)가 늘어난 반면, 20대 이하 청년층(-12만5천명)과 40대(-7만7천명)는 감소했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2월(-14만2천명) 이후 2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층 취업자는 4개월째, 40대 취업자는 8개월째 줄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청년층의 경우 20대 초반이 학업으로의 복귀하고 있는데다 지난해 2월 코로나 때문에 배달 종사자가 많았는데 거리두기 해제로 최근 줄어든 영향이 있었다"며 "도소매나 운수·창고업 같은 경기적인 부분들도 좀 있어서 20대 고용이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청년층 고용률도 45.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2021년 2월 이후 2년 만에 하락 전환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2만7천명 줄어 전달(-3만5천명)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했다.

서 국장은 "반도체 분야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제조업 취업자 수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전반적인 내수 침체에다 일상회복으로 인해 배달이 줄고 무인화가 확산되면서 도소매업(-7만6천명), 운수·창고업(-4만4천명명) 등에서도 취업자가 줄었다.

금융·보험업 취업자도 6천명 줄었다. 지난 1월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는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 감소는 점포폐쇄, 희망퇴직 등으로 전반적으로 인력이 줄어든 데 기인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75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6천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쉬었음(16만5천명), 심신장애(4만2천명) 등에서는 증가했지만, 육아(-18만7천명)와 연로(-9만3천명) 등에서는 줄었다.

취업준비자는 68만5천명으로 12만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35만8천명으로 15만5천명 줄었다.

기획재정부는 "2022년 고용호조에 따른 기저효과와 경기둔화·생산연령인구 감소 등 취업자 증가폭 둔화요인이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일상회복 등에 따른 대면서비스 정상화, 외국인 근로자 유입 등으로 당초 전망보다 둔화폭이 축소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편성된 일자리 사업은 조기·적기에 집행되도록 지속 관리하겠다"며 "현장 인력난 해소를 위해 구인난 호소가 큰 6대 업종을 선정해 내국인 유입 확대, 외국인력 활용 유연화 등 맞춤형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