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근로환경에서 양성평등이 실현되면 세계 총생산(GDP)이 약 7%, 최소 7조 달러(약 9천151조원) 가량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38개국의 노동 참여와 경영진 구성 등에서 성차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이같이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OECD 국가 노동시장에서 25∼64세 남녀의 차별이 없다고 가정할 때 세계 총생산이 6.2% 증가하며, 여성 경영진·전문인력의 비중이 남성과 같은 수준이 되면 0.7% 추가로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특히 인도 등 신흥국에서 성 격차가 줄어들 경우 총생산이 훨씬 커질 것으로 관측했다.
이는 노동시장에 여성 참여와 함께 전문인력 비중 등이 늘어나는 만큼 생산성도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세계 경제 대국을 포함한 OECD 소속 국가 내에서도 남녀 임금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의 82% 수준으로 집계돼 20년 전인 2002년의 80%에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유럽연합(EU) 국가들에서는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임금을 받기 위해서는 2086년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 세계 경영진 가운데 23%만이 여성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고위 경영진 구성 등에서 이 같은 격차가 더욱 현저하게 드러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심지어 여성이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은데도 더 낮은 수준의 저임금 일자리에 취업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경제 리서치 국장인 돈 홀랜드는 "진전이 있었지만, 충분히 빠르지 않다"며 변화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한 사회적 규범을 포함해 "이 같은 성 격차 이면에는 복잡한 이슈들이 숨어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는 유급 출산휴가와 더 저렴한 보육 등이 성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 세계가 현재 전환점에 서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