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4대 금융지주들의 정기 주주총회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금융 당국이 이사회의 책임론을 거론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롭게 교체되는 이사들이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국의 입김에 이사회의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승완 기자입니다.
<기자>
신한,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 이사회가 새판짜기를 앞뒀습니다.
신한지주는 11명 중 10명, 하나금융지주는 8명 사외이사 전원의 임기가 다음 달 끝이 납니다. 전체 80%가 넘는 인원인데, 과거 무난한 연임이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올 초 금융당국이 금융기업 이사회의 책임을 강조한데다, 금융권 내 세대교체 바람이 불면서 이사회 '물갈이' 가능성에 힘이 실립니다.
새로 꾸려질 이사회를 항한 첫 번째 관심은 다양성입니다.
통상 신한지주는 이사진 40% 안팎을 재일교포로 채우고, KB금융은 학계, 하나금융은 관료 출신 비중이 높습니다. 우리금융은 운용사나 증권사 대표를 지낸 인물을 선호하는데, 금융지주들이 진화하는 금융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고, 사회적 책임을 위해서도 다양한 이사진 구성이 필요하다는 조언입니다.
[황세운 /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여러 가지 견해들이 기업의 경영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거든요. 그래야 기업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 그리고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 관심은 '노동이사제' 도입입니다. 앞서 KB금융노조는 임경종 전 수은인니금융 대표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한 바 있습니다.
다만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즉각적인 도입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내비친 상황이어서, 최종 선임 여부는 주주총회에서 결정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이사회와의 '소통 정례화'를 내건 금융 당국을 두고 '관치 정례화'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에 금감원은 이사들과의 만남은 국제기구가 정한 은행 감독의 핵심 준칙이며,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 금융 당국 역시 이사회와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차기 CEO 선임에서부터 시작해 시장 금리 및 성과급, 퇴직금 등 보수체계에 이르기까지 계속된 '금융 관치' 논란이 새로운 이사진 구성에도 그림자를 드리우는 상황입니다.
한국경제TV 박승완입니다.영상편집 : 김민영
CG : 김민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