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산관리의 트렌드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자산을 단순히 쌓는 걸 넘어서, 금융회사에 맡겨 효과적으로 상속과 증여를 하는 방식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별기획 '인구절벽, 판이 바뀐다'. 오늘은 인구 구조 변화에 대비한 금융권의 준비 상황을 들여다봅니다.
박승완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전체 가구 순자산의 40%를 60세 이상 가구가 갖고 있는 셈입니다.]
금융권은 고령 PB(프라이빗뱅커)고객을 대상으로 신탁 설계나 연금 컨설팅 상담, 퇴직 이후에 들기 좋은 상품 권유를 늘려가는 중입니다.
이 중 신탁(信託)은 자산관리부터 상속, 증여 등 이전까지 아우르는 상품으로 주목받습니다.
50·60대에는 은퇴 이후 급증한 자산을 관리하다가, 70대에 접어들면 상속이나 기부 등 유언 집행에도 효율적이란 설명입니다.
사회 고령화로 '유언대용신탁'이나 '치매신탁' 등에 대한 관심은 늘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게 공통된 의견입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인구구조 변화를 겪은 일본에서 신탁이 대표적인 노후 자산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은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실제로 국가별 GDP대비 신탁 규모 비율은 일본이 173%, 미국 94%, 우리나라는 53% 수준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그마저도 대부분 금전(50%)이나 부동산(35%)에 몰려 있는데(종합재산, 0.04%), 일본의 경우 전체 신탁 중 절반 이상이 고령층의 종합신탁에 해당됩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0월 '신탁업 혁신 방안'을 내놓고 올해 1분기 안에 법적 정비를 마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신탁이 가능한 재산의 종류를 늘리고, 분야별 전문기관이 참여하도록 길을 열어 줄 방침인데, 이에 발맞춰 금융권도 준비를 서두르는 모양새입니다.
[김진선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자산관리연구실 실장 : 법무법인이라든지 병원이라든지 요양기관이라든지 이런 전문기관하고 금융 회사들이 업무 위탁을 통해서 신탁 상품을 더 전문화할 수 있는 그런 길을 마련해놨거든요.]
외부 조건에 좌우되는 이자이익 대신 비이자이익 늘리기가 과제인 금융기업들 역시 신탁 활성화를 새로운 수익원을 만들 기회로 삼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한국경제TV 박승완입니다.
영상취재 : 양진성
영상편집 : 김준호
CG : 조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