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금리 최고치…"내년 주담대 10%에 '깡통전세' 속출"

입력 2022-11-29 16:42
수정 2022-11-29 17:03
한국은행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발표
'단기에 금융위기 가능성 높다' 응답 반년새 2배↑
"이미 부동산 버블 붕괴…내년이 더 심할 수도"
지난달 은행들의 가계 대출 평균 금리가 10년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012년 5월 이후 최고치를, 일반 신용대출 역시 2012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사상 첫 6연속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현실로 다가온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29일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를 발표했다. 10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5.34%로 한 달 새 0.19% 포인트 올랐다. 이는 2012년 6월의 5.38% 이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4.82%로 9월보다 0.03% 포인트 올랐다. 오름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역시 2012년 5월의 4.85% 이후 가장 높았다. 박창현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연 3.7%∼4.0% 금리의 안심전환대출이 취급된 데다 일부 은행이 가산금리를 인하하고,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낮은 신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대출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0.60% 포인트 오른 7.22%로 집계됐다. 신용대출 금리가 7%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3년 1월(7.02%) 이후 처음인데, 값은 2012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 박 팀장은 "CD, 은행채 단기물 등 지표금리가 크게 상승했고, 일부 은행에서 고신용 차주에 대한 신용대출을 줄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가파른 금리 상승세는 당장 목돈이 필요한 이들에겐 더욱 부담이다. 결혼을 앞둔 30대 회사원 A 씨는 가입하려던 대출상품의 금리가 두 달이 채 안 돼 1.4% 올랐다고 전했다. 신혼부부들을 위한 대출도 알아봤지만 부부합산 소득 6천만 원 이하 기준에 걸렸다며 "주변에 이 조건에 맞는 경우가 흔치 않다"고 했다.

신용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차주의 경우 이미 주담대 금리 상단이 8%를 넘긴 것으로 전해진다. 주담대 금리가 8%를 넘어서는 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약 14년 만이다. 가뜩이나 국내 가계부채 부담이 큰 상황에서 대출 금리 인상이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은행의 '시스템 리스크(위험) 서베이(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외 주요 경제 전문가 72명에게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충격이 단기(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을 묻자 58.3%가 '높다'(매우 높음 12.5%, 높음 45.8%)고 답했다. 5월 같은 조사 당시 26.9%였던 것이 반년 새 두 배(31.4% 포인트) 늘어난 셈이다.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는 27.8%가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를, 16.7%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상환 부담 증가'를 지목했다.

실제로 이날(29일)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기업의 은행 대출 금리는 급격한 금리 인상과 레고랜드 발 회사채 시장 냉각의 여파로 급등했다. 지난달 기준 기업 대출 금리는 0.61% 포인트 오른 5.27%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2년 9월의 5.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상승폭만 놓고 보면 1998년 이후 약 24년 만에 최대치인데, 지표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회사채 시장 위축으로 기업의 대출 수요가 은행에 몰린 결과다.



전문가들은 대출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고 예상한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교수는 "최근 시중은행의 저원가성 예금이 줄어들고 고금리 정기 예·적금 비중이 늘고 있다"며 "대출금리 상향 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기업의 자금 조달에 대해서 서 교수는 "회사채가 지나치게 많이 발행돼서 유통 물량이 늘다 보니 가격이 낮아지면서 오히려 금리가 급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교수는 주담대 금리가 내년 10%대에 진입할 것이라며 미국이 기준금리를 2024년까지 5.5%로 올릴 계획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김 교수는 "집값은 금리가 7~8%를 넘어가면 하락하는데 집값이 오르는 속도보다 이자 부담이 더 커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집값이 37% 내리고 최고 50% 빠진 곳도 있다"면서 "무주택자가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 전세'가 속출하고, 주담대 차주들이 이자는 물론 원금도 갚지 못해 은행권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선 이미 부동산 시장이 심각한 상황에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28일 진행된 주택금융공사의 컨퍼런스에 참석한 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는 "실거래 가격이 한 달에 1.8% 떨어지는 건 금융위기 때도 못 본 일이었는데 지금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홍 대표는 "미국과 한국 모두 부동산 버블이 붕괴되고 있다"면서 "작년에 우리나라 전국 아파트 가격이 20.3% 올랐었는데 그걸 올해 다 토해했고 내년에 더 심하게 토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