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 언제까지…"내년 상반기 3.75% 정점"

입력 2022-11-24 10:2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4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려 사상 처음으로 6회 연속 인상을 단행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당장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미국이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정책금리 격차를 벌리면 내년에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계속될 전망이다.

경제·금융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최종 금리 수준을 3.50∼3.75%로 예상했다.

외환위기 이후 최대 수준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109.21)는 작년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 상승률이 7월(6.3%) 정점 이후 8월(5.7%), 9월(5.6%) 떨어지다가 석 달 만에 다시 높아졌다.

한미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정책금리 격차가 벌어지는 것도 한은엔 부담이다.

미국 기준금리는 3.75∼4.00%로, 여전히 한국 기준금리(3.25%)보다 0.75%포인트 높다.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기준금리를 5%대까지 올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은 입장에서는 내년에도 기준금리를 올려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 환율 변화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등의 위험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국 기준금리는 1분기 3.75%에서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본다"며 "미국 최종금리 수준이 5.25% 정도로 예상되고, 그에 따라 한은도 3.75%까지 올릴 것 같다"고 내다봤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도 "내년까지 물가 상승요인이 계속 남아있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내년 1월 3.50%까지 올릴 것 같고, 미국이 5.00∼5.25%까지 간다면 더 오를 수 있다"며 "한미 금리차가 1.50%포인트, 1.75%포인트까지 벌어지면 시장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이 내년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한 번 정도만 올릴 것이라고 예상하는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경기 침체 우려를 꼽는다. 내년 물가 오름세는 둔화하고 경기 침체 부담이 부각되면서 통화정책 대응 필요성이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은 이날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1.7%를 제시했다. 8월 전망치 2.1%보다 0.4%포인트 낮췄으며, 2020년 역(-)성장 이후 최저수준이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1월 0.25%포인트 인상 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결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 국내 내수 경기도 급격히 동력을 잃어가면서 내년에는 우리 경제가 경기 침체에 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내년 한두 번 금리를 더 올려 3.50∼3.75% 수준이 정점이겠지만, 3.50%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며 "글로벌 물가 오름세가 점차 잡히고 내년 경제 성장률은 1% 후반까지 낮아지면서 한은이 금리를 많이 올리기엔 부담일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