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으로 실시간 고화질 영상지도 그린다 [뉴스+현장]

입력 2022-10-17 18:57
수정 2022-10-17 18:57
"사람이 측량을 직접 하지 않고도 마우스 클릭 몇 번이면 실제 크기와 똑같은 고화질 영상 지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 본관 앞마당에서 드론을 띄운 이성훈 지오시스템 차장이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의 말이 끝나기 무섭게 80cm 상공을 가른 드론은 모니터에 픽셀당 1cm의 해상도를 자랑하는 지도, 무려 움직이는 영상 지도를 구현했다.

카메라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그 사진들을 한장으로 만들어 고해상도 항공 영상을 얻는 기법이 바로 드론 측량 기법이다. 기존 인공위성을 이용한 영상의 경우 해상도가 픽셀당 30~50cm 정도였다면 같은 장소를 드론으로 촬영 시 실제 모습에 가까운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픽셀은 사진을 확대해서 봤을 때 사각형 모양으로 깨져 보이는 화면의 단위로, 픽셀당 보여줄 수 있는 크기가 작을 수록 해상도도 높아진다. 1픽셀이 약 0.026cm 라는 점을 감안하면 드론으로 얻은 픽셀당 1cm 짜리 영상은 사실상 1대1 비율에 가까운 셈이다.

이성훈 차장은 "(특정 공간의) 정확한 면적이나 부피 등을 현장에서 바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밀 지도를 필요로 하는 공공기관들은 거의 다 드론 측량 지도를 쓴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정보지리원도 바로 그런 공공기관 중 하나다. 지리원은 '디지털 트윈 국토' 조기 달성을 위해 지난해부터 매년 전국 촬영을 시작, 최신 측량 기술을 도입하고 각종 규제 완화를 통해 항공 사진 촬영 방법을 개선했다. 디지털 트윈은 공간정보 등을 기반으로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을 구축해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예측·분석·최적화하는 기술이다.

올해부터 제공되는 지리원의 당해연도 항공사진은 민간, 지방자치단체, 중앙행정기관에서의 공간정보 기반 업무·서비스에 활용될 전망이다. 민간에서는 대표적으로 다양한 포털사이트의 영상지도가 최신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자체는 불법 건축물 모니터링, 인·허가와 토지 관리 등 각종 행정 업무를 더욱 신속·정확하게 지원하고, 중앙행정기관은 다양한 국토변화상을 국가기본도 등 각종 공간정보에 반영해 빠르게 서비스 할 수 있다.

지리원은 자율주행시대에 대비한 정밀도로지도 인프라도 갖췄다.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차선, 경계선, 터널, 교량, 신호기 등 각종 도로 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한 지도다.

MMS(Mobile Mapping System)를 장착한 차량으로 초당 100만 개의 점을 촬영해 그리는 만큼 내비게이션에 나오는 지도보다 정확하다는 게 지리원 측 설명이다. 지난해까지 전국 고속도로 6,700km의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마쳤고, 일반국도 1만5천km의 지도를 올해 안에, 오는 2027년까지 전국 4차로 이상 지방도로 2,357km를 대상으로 한 지도 제작을 완성할 계획이다.

한편 이런 공간정보 관련 첨단 기술들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산업 기술교류 박람회인 '2022 스마트 국토 엑스포'에 소개될 예정이다. 올해로 14회를 맞는 스마트 국토 엑스포는 '디지털 지구,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삶'을 주제로 다음 달 2~4일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