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강화' 강조해온 금융당국…"유동성 적극 공급"

입력 2022-10-13 20:09
수정 2022-10-13 20:09
<앵커>

금융당국 역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대출 부실 우려와 관련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기존 금융사의 건전성 관리 강화를 강조해왔지만, 시장 유동성이 말라붙자 공급장치 마련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인데요.

다만 2금융권에서 부실이 현실화될 경우 금융지주까지 리스크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합니다.

정호진 기자의 리포트를 통해 보시겠습니다.

<기자>

[김주현 / 금융위원장 : 정상적으로 괜찮은 PF사업장도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성 문제나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양호한 사업장도 PF대출 부실 우려를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2금융권을 중심으로 리스크를 점검하고 관련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복현 / 금융감독원장 : 비은행권, 여신전문금융사, 증권, 저축은행 등에 각 업권별 리스크에 대해서 여러 외생변수를 점검 중이고 그 건에 대해서 대응조치를 마련 중입니다.]

지금까지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부실을 방지하기 위해 자본금 확충을 주문하는 등 건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금융위기 대책을 마련해왔습니다.

이에 은행권은 규모가 큰 부동산PF 대출 문을 걸어 잠갔고, 당장의 관련 리스크는 2금융권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은행 대출이 막히며 자금경색 문제가 발생했고 금리 인상,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며 건설 현장에선 우려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권대중 /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 계약금을 걸고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PF대출이 안 됨으로써 부도나는 경우도 있고, 땅을 200억 주고 샀는데 40억 계약금을 걸었는데 나머지 대출이 안 되면 부도가 나는 것이죠. (금리인상으로) 이자가 올라서 감당이 안 돼서 부도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문제를 인식한 금융당국은 시장에 말라붙은 유동성을 공급하며 자금경색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최근 합동회의를 개최해 회사채와 CP 매입을 재개하고, 유동성 공급 장치 마련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동성 공급만으로는 리스크 관리에 한계가 있다며 금리 인상에 대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또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부실 우려가 현실화된다면, 이들을 보유한 금융지주에까지 연쇄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김대종 /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향후 대출금리가 10%까지 육박한다고 생각하면 PF에 대한 여파가 지주사라든지 큰 영향을 줄 것입니다. 부실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