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달 3일 0시부터 입국 전 PCR 검사가 폐지되면서 해외여행 예약률이 가파르게 오르는 등 그동안 어려움을 겪던 여행업계에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여행사들의 해외여행 성적이 엇갈리면서 업계에 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한 내용 유통산업부 김예원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김 기자, 여행 수요 회복 속도가 어느 정도로 빠른 겁니까?
<기자>
업계에선 해외여행 정상화를 막고 있던 마지막 장애물이 사라졌다는 반응입니다. 심리적 부담감이 크게 줄어들자 문의량이 큰 폭으로 늘었는데요. 실제 예약도 2~3배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오랜 기간 빗장을 걸어 잠갔던 일본도, 빠르면 다음 달부터 개인 여행객 입국 '자유여행'을 허용하고, 무비자 입국도 재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는데요.
한 여행사에 따르면 이달 들어 일본 여행 예약률이 전달에 비해 25배 늘었습니다. 그야말로 '반응이 폭발적이다'라고 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앵커>
실제로 여행 수요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업체 별로 성적이 조금 갈리고 있다고요?
<기자>
해외여행 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사들은 크게 빅 4로 불리는데요. 그동안은 1위 하나투어, 2위 모두투어 이 순위가 굳건했습니다. 그런데 코로나19라는 큰 변수를 겪고, 정상화로 돌아가고 있는 과정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어떻게 바뀌고 있는 겁니까?
<기자>
3~4위를 차지하던 참좋은여행이 2위였던 모두투어를 역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4월부터 빠르게 격차를 좁힌 건데요.
실제 패키지 상품으로 해외로 여행을 다녀온 '송출객' 수를 비교해 보면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참좋은여행이 모두투어를 앞지른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참좋은여행이 3개월 연속 2위를 차지한 것은 20여 년 만에 처음입니다. 이후 성수기인 7월, 8월엔 모두투어가 다시 조금 앞서긴 합니다만, 근소한 차이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에는 모두투어의 점유율이 2배 정도 높았거든요. 이 점을 감안하면, 최근엔 턱 밑까지 추격해왔다, 여행업계 판도 변화가 시작됐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3~4위 참좋은 여행이 2위 모두투어의 아성을 무너뜨렸다는 건데, 이유가 뭔가요?
<기자>
영업 정상화 속도가 확연히 달랐습니다. 참좋은여행은 지난 8월 말 전 직원이 대부분 복귀를 완료하고, 수시 채용을 늘리면서 인력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모두투어는 조금 보수적으로 운영을 재개하고 있습니다. 현재 복직률은 65% 정도에 불과하고요. 다음 달 4일에야 전 직원을 복귀시키겠다는 계획입니다.
하나투어, 노랑풍선도 모두 전 직원 정상근무체제로 전환한 것과 비교해 봐도 영업 재개 속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앵커>
모두투어가 보수적으로 운영해야만 했던 이유가 있던 겁니까?
<기자>
두 기업의 재무 상태를 보시면 이유를 짐작해 볼 수 있는데요.
올해 2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참좋은여행은 21%, 모두투어는 173%에 달합니다.
참좋은여행이 무차입 경영을 기조로 하는 데다가, 우연일지 모르겠지만 코로나 전에 830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매각하며 현금 곳간을 두둑이 채웠습니다. 때문에 코로나 기간에도 자진 퇴사자 외에 구조조정 없이 동력을 유지할 수 있었는데요.
이에 반해 모두투어는 보수적인 운영을 택했습니다. 코로나 재유행 등 상황이 악화될 때마다 여행 수요가 거의 0으로까지 급감하는 추세를 보였기에 다소 보수적으로 운영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는 건데요.
업계에선 "모두투어는 코로나19 이전에도 도전보다는 안정을 택했었다"며, "그 같은 기조가 계속 이어지면서 움직여야 할 때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 걸로 보인다"는 평가입니다.
<앵커>
코로나로 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재무여력의 차이가 영업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순위 변동도 불러온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거군요.
<기자>
네 맞습니다. 그리고 탄탄한 자금력을 갖춘 참좋은여행은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칠 수 있었다는 것. 이것도 한 요인입니다. 실제로 지난 2020년 11월에 코로나가 한창이었을 때인데 여행사 중 가장 먼저 영업을 재개했는데요.
'희망을 예약하세요'를 내걸고, 여행을 못 가게 될 경우 100% 환불은 물론, 기존 10만 원이던 예약금을 1만 원으로 줄여서 해외여행 상품을 판매했습니다. 파격적인 마케팅에 당시 서버가 다운될 정도로 인기가 좋았는데요.
이렇게 모은 사전예약 고객이 10만 명 정도인데, 올해 4월 거리 두기 해제 이후 이 고객들에게 다시 연락을 해서 상당수 실제 모객으로 전환을 시켰습니다. 10만 명이면 올해 8월 성수기에 여행사 상위 3곳의 해외 패키지 송출객을 합친 수보다 2배 많은 숫자입니다.
이 밖에 참좋은여행의 단순한 의사결정구조도 위기에서 공격적인 경영을 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꼽힙니다.
코로나 이전 8본부 36팀이던 조직구조를 6본부 17팀으로 대폭 간소화하고 개별 본부에서 대표이사로 직접 보고하는 형태로 전환했습니다. 이를 통해 코로나 상황이 변화할 때마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앵커>
20년 만에 2위 자리가 바뀐 건데, 향후 전망은 어떻습니까?
<기자>
모두투어는 지금의 점유율 변동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간 마케팅비와 인건비를 극도로 줄여서 운영한 만큼, 전 직원 복귀가 예정된 10월부터 공격적으로 영업을 재개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거죠.
그런데 업계에선 조금 다른 의견도 나옵니다. 여행 시장 재편은 더 가속화될 것이다 이런 전망이 나오고 있는 건데요.
실제로 코로나 전후 여행업 등록업체 수가 2천 곳 이상 감소했습니다. 전체의 10% 정도가 어려운 영업환경을 버티지 못하고 도산한 건데요. 이들 중소 여행사 물량을 상대적으로 영업을 일찍 재개한 기업들이 흡수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현재 해외여행 시장 전체를 두고 보면 여행 수요가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20% 정도도 채 회복하지 못한 상태거든요. 이런 점을 고려하면 업계 순위 변동을 논의하기엔 좀 이르다는 평가도 없지 않습니다.
2위 자리를 놓고 벌이는 여행사들의 진검승부는 이제부터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올해 연간 출국 수요의 60%가량이 4분기에 쏠려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매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 지역의 무비자 입국이 10월께 가능해지는 만큼, 이 수요를 누가 선점하느냐도 향후 점유율 전쟁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예측됩니다.
<앵커> 유통산업부 김예원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