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여성임원 비율, 6% 첫 돌파…개정 자본시장법 영향

입력 2022-09-15 07:26


국내 500대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이 처음으로 6%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개정된 자본시장법의 영향으로 주요 기업의 여성 임원이 꾸준히 늘었고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양성평등지수도 향상됐다.

㈔위민인이노베이션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이런 내용이 담긴 국내 주요 기업 양성평등지수 평가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353개사를 대상으로 양성평등지수를 평가한 결과 이들 기업의 양성평등지수는 평균 56.7점으로 지난해보다 4.8점 높아졌다.

업종별로는 생활용품, 은행, 제약, 서비스 업종의 점수가 높았다.

양성평등지수는 고용, 근속연수, 급여, 임원, 등기이사, 고위관리자 직위 등 총 6개 항목에서 남녀 간 차이가 작고 여성 직원 관련 제도가 우수한 기업에 높은 점수가 부여된다.

항목별로 보면 여성 임원 비중이 가장 크게 개선됐다.

올해 1분기 기준 여성 임원의 비율은 6.3%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상승했다.

여성 임원 비율이 6%를 넘은 것은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여성 사외이사를 대거 영입했기 때문이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새 자본시장법은 자산총액이 2조원 이상인 상장사의 이사회를 특정 성(性)이 독식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남녀 간 근속연수 차이는 2020년 말 기준 3.1년에서 지난해 말 2.9년으로 줄었다.

또 이들 기업에 다니는 여성의 연봉 수준은 2020년 남성의 65.5%에서 지난해 66.1%로 소폭 상승했다.

다만 코로나19를 지나면서 대기업의 여성 고용 비율은 26.6%에서 25.5%로 1.1%p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