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쟁이, 금리인상보다 내년 금리인하 주목 환투기 세력, 강달러보다 약달러에 베팅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입력 2022-07-28 08:25
수정 2022-07-28 08:25
오늘 새벽 3시 이후 7월 FOMC 회의결과가 나왔는데요. 예상대로 0.75%p 인상했습니다. 지난 3월 이후 매 회의 때마다 한 단계씩 높여 인상해오던 추세가 멈춤에 따라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빠르게 변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내용을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관심이 됐던 7월 FOMC 결과가 나왔는데요. 특이사항 중심으로 정리해 주시지요.

- 지난 3월 이후, 갤로핑 인상 추세 ‘일단 정지’

- 인플레 판단 실수, 뒤늦게 금리인상 밀어붙여

- 3월 0.25%p→ 5월 0.5%p→ 6월·7월 0.75%p

- 금리인상 가이던스,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아

- 파월, 다음 회의에서 큰 폭 인상 적절할 수도

- 0.5%p? 0.75%p?… ‘큰 폭의 의미’ 해석 분분

- 월가, 경기와 금리인상 등에 대한 다양한 견해

Q. 이번 회의를 계기로 숨 가쁘게 전개돼 왔던 연준의 금리인상 추세가 일단은 한시름 놓는 분위기인데요. 시장도 빠르게 움직이지 않습니까?

- 증시, 금리인상보다 내년 금리인하설에 민감

- 금리에 민감한 빅테크 종목과 암호화폐 급등

- 극단적 비관론자 추방, 루비니 또다시 시련

- 국채금리, 인플레보다 경기침체 우려에 민감

- 10년 금리 2.7%, 장단기 금리 -30bp로 확대

- 국제외환시장, 美 달러 가치 빠르게 하락

- 달러인덱스 106대, 킹달러 베팅한 세력 ‘당혹’

Q. 이번 회의에서 1%p 인상설까지 나돌던 것이 0.75%p 인상에 그침에 따라 인플레에 대한 연준의 시각이 바뀐 것이 아닌가에 대한 예상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6월 연준 전망 이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확산

- 올해 경제 성장률, 1.7%까지 대폭 하향 조정

- 6월 CPI 상승률 9.1%, 사실상 사상최고 수준

- 6월 CPI 기점으로 ‘인플레 peak out론’ 부상

- 유가 100달러 이하, 휘발유 가격 4.5달러 내외

- CBR지수도 하락세, 구리 등 비철금속도 하락

- 상반기 금리인상, 하반기에 인플레 안정 효과

- 장단기 금리 역전, 인플레보다 경기침체 반영

Q. 이번 회의에서 0.75%p 인상에 그친 것은 최근 빠르게 악화되는 ‘경기침체 우려를 의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죠?

- 6월 연준 전망 이후 美 경기침체 논쟁 확산

- 서머스와 그린스펀, 스태그플레이션 닥칠 경고

- 옐런과 파월, 아직까지 침체 징후 없다고 반박

- IMF, 성장률 하향 조정폭 미국이 가장 커

- 4월 전망 3.7%에서 7월 2.3%…1.4%p 하향

- 내년 성장률도 2.3%에서 1%…1.3%p 하향

- 연준의 잠재 성장률 1.75%, 디플레 갭 발생

- 오늘 발표될 2분기 성장률 얼마나 나올지 관심

Q. 다음 연준회의는 9월에 예정되어 있는데요. 벌써부터 다양한 견해들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7월 FOMC 계기, 금리인상폭 정점론 부각

- 9월 FOMC에는 0.5%p 금리인상설에 무게

- 내년부터 금리인상보다 금리인하로 추세 전환

- 파월의 기자회견, QT를 계획대로 추진 강조

- ’오락가락’ 파월…6월, ‘2∼3조 달러 줄이겠다’ 발언

- QT, 금리인하설과 함께 조기 종료설 고개 들어

- 내년에 종료, QT규모 1조 달러 이상 줄어들 것

- 2017년 후 QT도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아

Q. 내년에 금리인하설이 나온다면 기축통화를 넘어 킹달러, 즉 제왕통화가 될 것이라는 달러 가치도 많은 변화가 있지 않겠습니까?

- 美 6월 CPI 발표 이후 달러, 제왕통화 논쟁

- 7월 15일, 달러인덱스 109 / 원?달러 환율 1326원

- 1500원 이상 급등설과 제2 외환위기 우려 고개

- 금융위기 이후 non system, 달러 체제 약화

- 각국, 자국의 독립성 확보 위해 탈달러화 노력

- 자국통화 결제망, SWIFT->‘CIPS’와 ‘SPFS’으로

- 푸틴, 결제망 ‘SPFS’ 통해 루블화 방어

- 달러, 기축통화 넘어 제왕(king)통화 ‘가짜뉴스’

Q. 이번 회의를 계기로 숨가쁘게 전개돼 왔던 연준의 금리인상 추세가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는데요. 전체적으로 정리해 주시지요.

- 각국, 인플레 퍼펙트 스톰에 금리인상으로 대응

- 70개국이 금리인상, 55개국이 빅스텝 금리인상

- 스위스 -0.25%, 덴마크 -0.1%, 일본 -0.1%

- 각국, 인플레 퍼펙트 스톰에 금리인상으로 대응

-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국가, 양분화 추세 ‘뚜렷’

- 민주주의 국가, 인플레 잡기 위해 ‘금리인상’

- 中과 러시아 중앙은행, 금리인하로 경기부양

- 1994년 이후와 다른 형태의 대발산 ‘현실화’

Q. 연준이 이번에 금리를 0.75%p 인상함에 따라 한미 간 금리가 다시 역전됐는데요. 일부에서는 외국인 자금이 이탈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데요. 우려대로 이탈되겠습니까?

- 한미 간 금리역전, 美 2.5% vs. 韓 2.25%

- 신흥국 자금이탈, 금리차보다 외환보유고 중요

- 韓 외환보유, 각종 기준별 적정규모보다 많아

- 최근 외환보유고, 2선까지 포함하면 5500억 달러

- 한미 간 금리역전, 美 2.5% vs. 韓 2.25%

- 상시적인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연준의 소관

- 국민연금, 해외투자 위한 달러 수요 증대 공론화

- 노후생활안정 위한 국민 돈으로 외환위기 발생?

- ‘프로 보노 퍼블리코’ 통화스와프 체결, 제3 대안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