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경호처(처장 김용현)가 지난 12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9층 회의실에서 첨단 경호·경비 시스템 도입을 위해 민·관이 함께하는 'AI 과학경호·경비 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단(이하 AI 과학경호 TF)'출범식을 열었다.
경호처의 인적 인프라에 민간 기업이 보유한 AI(인공지능)와 로봇, 5G 등 최첨단 ICT(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경호처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업무협약(MOU)를 맺고 클라우드, 보안 네트워크 및 AI 기반 기술에 대한 협력을 구체화했다.
대통령경호처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용산공원 개방 등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맞는 과학경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AI 엑스레이(X-ray), 로봇 등을 도입하고, AI 과학경호·경비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AI 과학경호 TF는 민간 기업과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 11명(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삼성전자, 네이버랩스 등)과 경비·통신 등 장비운용·사업 담당 대통령경호처 직원 13명 등 총 24명으로 구성됐다.
TF를 통해 오는 9월말까지 용산공원 내 로봇견, 경비드론 등 첨단과학 경호장비 운용에 필요한 통합관제 플랫폼과 무선 보안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대통령경호처는 AI 과학경호·경비 플랫폼 최신화를 위해 앞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유관 산학연관과 기술협력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김용현 대통령경호처장은 "기존 경호 인력 중심의 경호·경비로 대통령님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민간 기업이 보유한 첨단 기술을 접목시키고 함께 연구·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고도화되는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과학경호·경비 시스템을 구축해 AI시대에 걸맞은 경호·경비의 선진화된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