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미래의 싸움'…현대차 노조를 보는 시선

입력 2022-07-05 20:05
수정 2022-07-05 20:05
<앵커>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현대차 노사가 일단 협상을 재개했지만, 결국 파업으로 갈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4년 만에 파업을 불사하겠다는 노조와 미래차 시대 준비가 더 절실한 회사 측이 '강 대 강'으로 맞붙고 있습니다.

산업부 김민수 기자 나와있습니다. 일단 현대차 노사가 다시 협상을 시작하는 건가요?

<기자>

지난달 22일 교섭 결렬을 선언한 현대차 노조는 오늘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사측이 요구한 교섭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일단 13일까지 본교섭과 실무협의를 하겠다는 겁니다.

이미 현대차 노조는 조합원 과반 찬성과 중앙노동위원회의 교섭 중지 결정으로 파업권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노조의 요구안 대부분이 사실상 사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파업을 위한 명분 쌓기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앵커>

노조가 어떤 요구들을 하고 있길래, 결국 파업으로 갈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건가요?

<기자>

기본 요구안은 기본급 인상, 수당 현실화,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이 핵심입니다.

사실 이 정도는 예상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노조의 과도한 요구가 협상을 통해 현실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협상 과정입니다.

이와 별도로 요구한 것들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노조는 정년 연장, 국내 전기차 공장 신설 투자 등을 별도로 요구했는데요. 사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안들이죠.

특히, 현대차는 현재 국내에서는 기존 내연기관 생산라인을 바꿔 전기차를 만들고 있는데, 노조는 추가로 새로운 전기차 공장을 만들자는 겁니다.

전기차 생산에는 지금보다 필요한 인력이 20% 줄어듭니다. 부품이 40% 덜 들어가거든요. 이를 대비해 노조의 일감을 미리 확보하겠다는 뜻이죠.

<앵커>

정년 연장 역시 쉽지 않아보이는데, 이런 무리한 요구가 나오는 배경이 있나요?

<기자>

앞으로 5년간 현대차 노조 조합원 중에 정년을 맞는 근로자들은 1만2천여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현대차 노조 조합원 4만7500여 명의 4분의 1이 넘는 수준입니다. 당연히 정년 연장에 대한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현대차 노조는 '정년 연장은 곧 대한민국 신규 채용'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올해 임단협에서 이 안건을 반드시 관철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파업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이유 중 하나죠.

<앵커>

이렇게 되면 현대차 내부의 젊은 세대와의 갈등도 있을텐데요. 결국 임금 인상 재원을 나눠쓰는 것 아닌가요?

<기자>

이 기사의 제목에 '과거와 미래의 싸움'이라는 표현을 썼는데요. 지금 현대차의 상황을 설명한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미래에 투자하고 새로운 연구인력을 더 뽑고 싶은 사측과 기득권의 이득을 더 공고히 하고 싶은 노조의 갈등이 보입니다.

하지만 현대차 내부를 들여다보면 비교적 연령대가 높은 생산직과 상대적으로 젊은 연구개발직 간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노-노 갈등이자, 신-구 갈등이죠.

한정된 재원으로 노조가 원하는 대로 해주다 보면 연구개발 직군에 대한 적절한 보상책을 만들기 힘듭니다.

최근 한국경제TV도 미래차 인력난에 대해 집중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현대차를 떠난 미래차 인력들이 판교로 향하고 있는 겁니다.

현재 현대차의 생산·기술·정비 인력은 전체 직원의 50%가 넘습니다. 반면 연구개발 인력은 16%에 불과합니다.

미래를 위해서라면 생산직보다는 개발자 쪽이 더 급하겠죠. 그런데 노조의 요구대로 가면 생산직에 돌아가는 파이만 더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앵커>

이대로 파업까지 간다면 현대차는 물론 부품사, 고객들까지 피해가 만만치 않을텐데 어떻게 전망되고 있습니까?

<기자>

결국 파업으로 갈 것이란 해석이 지배적입니다.

특히 이번 현대차 노조의 움직임은 윤석열 정부 ‘길들이기’에 나선 민주노총의 행보와 궤를 같이 합니다.

국내 최대 단일 노조로 상징성이 큰 현대차 노조가 4년 만에 파업에 들어갈 경우, 연쇄 파업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전기차 시대를 맞아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현대차 입장에서는 더 치고 나가야 하는 상황인데, 노조가 큰 부담일 수 밖에 없습니다.

가뜩이나 반도체 대란으로 1년 이상 출고 대기를 하고 있는 상황인데, 기다리는 고객들의 원성도 높아질 겁니다.

그럼에도 또 노조가 이길 것이란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옵니다. 지금까지 대부분 그랬기 때문이죠.

여기서 나라 밖으로 눈을 돌려 보겠습니다. 지금 현대차의 경쟁상대인 테슬라는 위기를 앞두고 적극적으로 인력을 감축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3개월간 전체 인력의 3.0~3.5%를 줄이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물론 회사가 어렵다고 직원을 짜르는 게 정답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금의 법과 제도로 과연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