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아이폰 등의 위탁생산 물량을 늘리려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최근 중국의 엄격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령 등을 이유로 들면서 일부 위탁 생산업체와 이러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논의에 참여한 한 소식통은 애플이 코로나 대유행 이전부터 중국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제조 기반을 다각화하는 것을 모색했고 위탁업체들에 이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WSJ은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제품의 90% 이상이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며 애플의 지나친 중국 의존은 미국, 중국 두 나라의 충돌과 갈등을 고려하면 잠재적인 위험 요소라고 진단했다.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중국이 비판을 자제하고 중국 일부 도시에서 코로나 봉쇄령이 진행되면서 애플의 중국 의존도 줄이기 구상도 한층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앞서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4월 "우리의 공급망은 전 세계적이고 애플 제품은 어디에서나 생산된다"며 "공급망 최적화를 계속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애플과 위탁 생산업체들은 노동력이 풍부하고 생산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눈여겨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의 폭스콘과 위스트론은 이미 인도 공장에서 현지 판매용 아이폰을 생산하고 있으며 수출용 아이폰 제조 물량을 늘리려 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다만, 중국에 본사를 둔 애플의 위탁 생산업체들은 중국과 인도의 외교, 경제적 갈등 때문에 인도 현지 공장 설립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2020년 국경 문제로 충돌했고 최근 인도 규제 당국은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에 대해 불법 해외송금 혐의를 적용해 자산을 압류하기도 했다.
소식통은 이런 이유로 중국 위탁생산업체들이 베트남과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애플은 중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신제품의 대량 생산 예비 작업도 진행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