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가구업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한샘이 불경기와 원가 부담 등 악재에 신음하고 있습니다.
4년 뒤 매출을 두 배로 늘리는 청사진을 내놓는 한편 적극적인 주주 달래기도 나섰습니다.
박승완 기자입니다.
<기자>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에 직격탄을 맞은 한샘.
반년 가까이 하락세를 보인 주택 매매 거래에 리모델링이나 가구 수요마저 쪼그라들었기 때문입니다.
원재료 가격도 부담인데, 파티클보드(PB)나 가공목재(MDF)가 1년 전과 비교해 35.9%, 45.5% 비싸졌습니다.
수요는 줄고 원재료 가격은 늘어나는 겹악재에 한샘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4.0%(252억 원) 줄어들 전망입니다.
증권 시장에서도 한샘은 지난 3월 11일 89,900원을 기록한 뒤 7만 원대로 내려앉은 상태입니다.(4/15종가, 7만 9천 원)
대외적인 위기 극복을 위해 한샘은 중기경영전략을 밝히며 기존 제조업에서 진화한 '리빙 테크기업'을 목표로 내걸었습니다.
김진태 대표는 이를 발판으로 "2026년까지 매출 4조 원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돌파구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시공·물류와 대리점에 갇혀 있던 사업 영역을 소비자에게까지 확대합니다.
발품을 팔지 않고서도 품목을 찾아 견적을 낼 수 있고, 사용 후기나 AS신청도 온라인에서 진행합니다.
전국 900여 개 대리점, 1만 3천여 명의 전문 인력 등 오프라인 자산과 6만 건의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주주 달래기를 위해서는 올해(2022년)부터 배당 성향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한편, 꾸준한 자사주 매입도 약속했습니다.
[강경태 /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 매크로 환경이 안 좋아지며 거래량이 잠잠해졌기 때문에 한샘에 대한 사업모델 우려가 있는 거죠. 각종 규제가 완화되면서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다는 측면에서 봤을 때 올해 1분기 때 보였던 극심한 거래 침체는 앞으로 없을 겁니다.]
한국경제TV 박승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