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탈원전' 대신 '복원전'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원전 가동률을 높이고 수출도 재개해 다시 원전 강국이 되겠다는 건데,
이를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이 개발돼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취재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방서후 기자. 도대체 어떤 기술이 개발된 겁니까?
<기자>
원자력 발전과 떼어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핵폐기물일 겁니다.
원전이 가동될 수록 치명적인 물질을 포함한 폐기물도 쌓일 수밖에 없는데,
폐기물 중에서도 오염 농도가 높아서 처리가 힘들었던 물질을 열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온 겁니다.
<앵커>
어떤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거죠?
<기자>
원자력발전소 중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많이 쌓이는 곳이 공기정화기 같은 공조시설인데요. 핵심 부품인 활성탄 때문입니다.
이 활성탄에 방사성 물질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규제하는 기준 이상으로 묻으면 폐활성탄, 우리가 흔히 말하는 핵폐기물이 되는 거고요.
그러면 여기에 무엇이 묻어 있느냐. 바로 방사성탄소(C-14)입니다.
이게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는 단적으로 말씀드릴게요. 후쿠시마 오염수에 들어있는 물질입니다.
또한 방사능이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5천년이 넘기 때문에 원전에서는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물질이기도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원전에는 이런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폐활성탄이 200L짜리 드럼으로 4천 개 넘게 쌓여 있습니다.
<앵커>
설명을 들을 수록 무시무시한데, 그러면 언제쯤 이 기술을 써서 핵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나요?
<기자>
현재 한국수력원자력과 이 기술을 개발한 하이에어코리아라는 회사가 실증실험 단계에 들어갔습니다.
오는 6월까지 실증실험을 마치고 이르면 9월 전 원전에 해당 기술이 도입될 예정이고요.
회사 측은 이미 두 차례나 진행한 모의실험에서 방사성탄소의 농도가 국제원자력기구의 규제 기준 이하로 떨어진 것이 확인됐기 때문에 실증실험도 무난히 성공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술이 상용화되면 폐이온교환수지나 폐흑연 같은 다른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도 사용할 수 있고요.
특히 최근 커지고 있는 원전 해체 산업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앵커>
핵폐기물 처리가 원전 해체에서 그렇게 큰 부분을 차지하나요?
<기자>
원전 해체는 해체 준비부터 시작해서 사용 후 핵연료 방출, 토양 제염, 시설물 해체, 폐기물 처리, 부지 복원까지 최소 20년이 걸리는 대장정입니다.
단계가 복잡한 만큼 당연히 해체에 필요한 기술만 해도 100가지에 육박하고요.
당장 내년 5월이죠. 가동이 영구적으로 멈춘 고리1호기가 해체를 앞두고 있는데,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기술들의 개발이 특히 늦은 편이었습니다.
만약에 국내에서 폐기물 처리 기술들이 개발되지 않았다면 해체가 늦어지거나 비싼 돈을 주고 외국 업체에게 맡겨야 하는 상황이 생기겠지만,
다행히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고, 따라서 국내 원전 해체 시장도 그만큼 빨리 열리게 된 셈입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후보 시절 탈원전을 폐기하고 복원전을 약속하지 않았습니까?
원전 활성화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전 해체를 이야기 하는 게 맞는 지 모르겠어요.
<기자>
원전 해체야말로 원자력 생태계를 완성하는 단계라 볼 수 있습니다.
원전 설계, 건설이 선행주기 산업이라면 원전 해체와 폐기물 관리는 후행주기 산업으로 분류되는데요.
우리나라 원전 산업은 아직 선행주기 위주로 짜여 있는 게 현실입니다.
원전 건설과 후처리를 함께 수출하는 다른 나라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요.
무엇보다도 전세계적으로 노후 원전이 늘면서 해체 수요가 늘고 있고,
차세대 원전이라 불리는 소형모듈원자로(SMR)도 기존에 낡은 원전을 해체한 뒤에 지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전 해체 시장은 앞으로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입니다.
발전소 1기를 해체하는 데 약 7,500억원이 든다고 하는데요.
여러 제반 비용들을 고려했을 때 2030년까지 국내 원전 해체 시장은 9조원, 세계로 무대를 넓히면 123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앵커>
원전 해체에 필요한 기술이 상용화되고 시장이 커지면 국내 기업들에게도 많은 기회가 돌아갈 것 같은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원전을 해체하기 위해선 굉장히 많은 기술이 필요하고 또 여러 단계를 밟아야 하는데요.
폐기물 처리라는 난제가 해결되면서 인허가부터 부지 복원까지 사실상 해체 전(全) 단계에 필요한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전망입니다.
증권가에서는 특히 원전 해체 실적사들과 많은 협업을 하고 있는 건설사들, 대표적으로 두산에너빌리티와 현대건설, 대우건설에 주목하고 있고요.
폐기물 처리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오르비텍 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폐기물까지 접수…원전 해체 시장 꽃핀다
#원전은 짓는 것보다 부수는 게 중요
#다시 꾸는 K원전의 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