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CBDC의 기본 기능이 작동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오프라인 결제와 같은 실생활 적용 검증에 나섭니다.
은행권도 한국형 CBDC 개발에 발맞춰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등 유통시장 선점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가상화폐 투기 열풍과 현금없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에서 도입 논의가 본격화된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한국은행도 한국형 CBDC 개발을 위해 지난해 8월 카카오 계열사인 그라운드엑스와 모의시험을 시작, 1단계 실험 결과 가상환경에서 CBDC의 제조, 발행, 유통 등 기본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앞으로 6개월간은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오프라인 결제 등 실생활 적용여부를 검증한다는 계획인데,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 CBDC를 담아 쓰는 실험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특히 한은은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갤럭시폰 등에 탑재된 근거리무선통신(NFC) 등으로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은행 관계자 : 1단계에서 구현된 환경을 기반으로 2단계에서는 오프라인 결제라던지 국가간 송금같은 다양한 추가기능, 개인정보강화기술이나 분산원장 확장기술과 같은 신기술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합니다.]
한은은 모의실험 환경을 실제 서비스 환경과 유사하게 발전시키기 위해 1분기 중 은행·핀테크 등 금융기관들과 협력에 나선다는 방침.
CBDC도 현금처럼 중앙은행이 제조·발행하고 금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만큼, 은행권의 경우 이에 맞춰 CBDC 유통 시장 선점을 위한 채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은 최근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어 유통을 위한 기술 검증을 마쳤고, 앞서 신한은행도 LG CNS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화폐 플랫폼을 시범 구축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은행권에서 처음으로 CBDC를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지갑을 개발했으며, CBDC 전담부서를 신설한 농협은행도 조만간 자체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은행권 관계자 : 은행은 전자적 형태로 (디지털 화폐) 유통을 시키는 업무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솔루션을 기반으로 송금이나 결제, NFT 등의 유통이 가능한지를 기술적으로 검증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앱에 넣어둔 디지털화폐로 물건을 사고 결제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빅테크에 맞서 CBDC 관련 플랫폼을 선점하려는 은행권의 움직임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