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1경이 넘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몰린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청약 열풍 뒤에는 모회사인 LG화학의 주가 폭락이 있었죠.
알짜 부분만을 따로 떼 상장시키는, 이른바 '쪼개기 상장'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인데요.
정치권이 이러한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기업들의 고민이 커졌습니다.
방서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업의 물적분할을 금지시켜 달라는 내용의 청와대 국민청원입니다.
알짜 사업을 떼어 내면 모회사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데다, 분할된 자회사 주식도 주지 않는 만큼, 손해가 막심하다는 겁니다.
실제로 지난해 초 100만 원을 웃돌던 LG화학 주가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 배터리 사업 부문을 떼어낸 이후 30% 넘게 곤두박질쳤습니다.
투자자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자 대선을 앞둔 정치권에서도 물적분할 제도를 손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물적분할 때 모회사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겠다"고 약속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도 "이중 상장에 따른 개인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물적분할을 할 때 모회사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기업들은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특히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자회사 상장 카드를 자주 사용했던 SK그룹의 경우는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 졌습니다.
당장 SK이노베이션에서 분할된 SK온의 상장 계획은 2년 뒤로 밀렸고, 지주회사인 SK(주) 산하 SK팜테코는 국내보다는 나스닥 상장이 유력해졌습니다.
연이은 쪼개기 상장으로 재미를 본 카카오도 모빌리티와 엔터 상장 재검토에 나섰고, 핵심 사업부를 분할해 투자를 유치하려던 CJ와 KT도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물적분할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모회사와 자회사 동시 상장으로 인한 피해를 소액주주가 고스란히 떠안는 구조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합나다.
[이관휘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애초에 물적분할을 할 때 주주들에게 피해가 갈 것을 알았다면 이사회에서 통과가 되면 안 되는 건데, 지금은 통과가 되어도 불법이 아니죠. 결국 일반주주의 지위를 지금보다 많이 격상시킬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동안 관행처럼 여겨졌던 '쪼개기 상장'에 제동이 걸리면서 기업들은 성장 동력 확보와 주주가치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할 처지에 놓이게 됐습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