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기업 빚, GDP 2.2배…"최악땐 성장률 -3% 갈수도"

입력 2021-12-23 12:55
가계빚 2천조원 달해…3분기 9.7%↑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빚이 전체 경제 규모의 2.2배에 달했다.

이러한 과도한 가계빚 등 금융불균형 상태가 이어진다면 최악의 경우 성장률이 마이너스 3%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결과도 함께 나왔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하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신용(가계·기업 부채 합) 비율은 219.9%로 집계됐다.

통계가 시작된 1975년 이후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작년 3분기 말보다 9.4%p 더 오른 수치다.

가계부채(1,844조9천억 원)는 1년 사이 9.7% 늘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 말(843조 원)과 비교해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수준이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소득보다 빨라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3분기 말 174.1%까지 뛰어올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p 높다.

한국은행은 영끌과 빚투 열풍으로 가계부채와 같은 금융불균형 위험이 가계 소비 제약, 기업 투자 위축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물경제 충격에 대한 분석결과, 현재의 금융 불균형 수준에서는 극단적 경우(10%의 확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23년쯤 연 -1.4%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주요국 금융불균형 상황까지 반영하면 성장률은 같은 확률(10%)로 연 -3.0%까지 내려가게 된다.

한은은 가계부채가 소비를 제약하기 시작하는 임계치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 45.9%로 평가했다.

지난 3월 말 평균 DSR(36.1%)보다 높아 아직 가계의 전반적 채무상환 부담이 소비를 줄일 정도의 수준은 현재까지는 아니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가계의 높은 실물자산 보유 비중, 고위험 가구 증가 등을 고려할 때 가계의 실질소득이 많이 감소할 경우 가계가 실물자산 매각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나서면서 주택가격 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가계부채가 아직은 소비를 제약할 수준까지 이르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가계부채가 누증될수록 대내외 충격에 금융·실물경제의 변동성이 더 커지고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만큼 가계부채 억제 노력은 일관되게 추진돼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