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자동차부품업체들의 미래차 전환 속도가 매우 더디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14일 온라인으로 제21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열고 '자동차업계 경영 및 미래차전환 실태조사 결과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9∼10월 조사전문업체 메기알엔씨를 통해 완성차·자동차부품업체 300개사, 자동차업계 종사자 405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등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응답 업체의 56.3%는 아직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차 분야에 진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래차 분야에 진출은 했지만 수익을 실현하지 못한 기업 비율도 23.7%나 됐다. 응답 업체의 80%가량이 미래차 분야로 완전히 전환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미래차 분야 진출업체(131개) 중 제품 양산까지 5년 이상 소요된 기업의 비율은 35.5%였다. 미래차 전환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됨을 보여준다고 KAIA는 전했다.
미래차 관련 부품 1종을 양산하는 데 든 비용은 평균 13억1천400만원으로 조사됐다. 소요 기간은 평균 13개월이었는데 이는 지난해 조사 때의 33개월에 비해 크게 단축된 것이다.
미래차 연구개발(R&D) 투자와 관련한 애로 요인을 묻는 말에는 가장 많은 47.3%가 '자금 부족'을 꼽았다. '전문인력 부족'(32.1%), '원천기술 부족'(13.0%) 등의 답변도 나왔다.
설비투자 관련 장애요인도 '자금 부족'이 77.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작년 응답 비율이 63.9%였던 것을 고려하면 자금 애로가 더 악화되고 있음을 뜻한다. '각종 규제'(9.9%), '미래 불확실성'(9.2%)을 꼽는 기업들도 있었다.
아직 미래차산업에 진입하지 못한 기업들의 진출 희망 분야는 '전기차 전용부품'(36.7%), '미래차용 공용부품'(30.2%) 순이었다. 기술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자율주행'(11.8%), '수소차 전용부품'(9.5%)을 선택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와 김경유 산업연구원 실장, 허재준 노동연구원 박사 등이 참여한 토론이 열렸다.
장 석좌교수는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선제적 사업구조 개편 활성화' 방안과 연계해 미래차 지원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정부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원대상을 선별하고, 내연기관차 산업생태계를 미래차로 연착륙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